#2022년 글 다시보기
2022년 발행된 기사가 총 51건 있습니다.
좌담
-
- 2022년 좌담 일본군‘위안부’ 투쟁 영역의 확장 〈3부〉 - 다르게 선택하기
-
일본군‘위안부’운동은 제국과 식민지, 남성과 여성, 국가와 인민 사이의 차별적 권력 구조에 맞서 소수자와 인간, 여성의 몫을 확보하기 위한 투쟁의 역사와 뗄 수 없습니다. 두 번째 청년좌담에서는 젊은 연구자이자 활동가인 이은진, 이재임, 최성용과 만나 이들의 삶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가 어떤 의미와 동인이 되고 있는지 물었습니다....
-
- 2022년 좌담 일본군‘위안부’ 투쟁 영역의 확장 〈2부〉 - 부딪치는 기억들: 채록·발굴·선택·배치
-
일본군‘위안부’ 운동은 제국과 식민지, 남성과 여성, 국가와 인민 사이의 차별적 권력 구조에 맞서 소수자와 인간, 여성의 몫을 확보하기 위한 투쟁의 역사와 뗄 수 없습니다. 두 번째 청년좌담에서는 젊은 연구자이자 활동가인 이은진, 이재임, 최성용과 만나 이들의 삶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가 어떤 의미와 동인이 되고 있는지 물었습니다....
-
- 2022년 좌담 일본군‘위안부’ 투쟁 영역의 확장 〈1부〉 - 부딪치는 차이들
-
일본군‘위안부’ 운동은 제국과 식민지, 남성과 여성, 국가와 인민 사이의 차별적 권력 구조에 맞서 소수자와 인간, 여성의 몫을 확보하기 위한 지난한 투쟁의 역사와 뗄 수 없습니다. 두 번째 청년좌담에서는 젊은 연구자이자 활동가인 이은진, 이재임, 최성용과 만나 이들의 삶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가 어떤 의미와 동인이 되고 있는지 물었습니다....
-
- 2022년 좌담 지금, 여기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란 무엇인가 〈3부〉 - 따옴표 옮기기: ‘위안부’에서 ‘문제’로
-
일본군‘위안부’문제를 다룬 학술의 장이 마련될 때면 청년·미래 세션이 빠지지 않는다. 피해 생존자와 연결된 실질적 감각이 부재한 포스트 메모리(후-기억) 세대에 대한 우려와 기대가 드러나는 부분이다. 기실 여성학, 법학, 외교학, 사회학, 역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진 연구자들의 연구성과는 축적되고 있다....
-
- 2022년 좌담 지금, 여기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란 무엇인가 〈2부〉 - ‘위안부’ 문제의 세대 전환
-
일본군‘위안부’문제를 다룬 학술의 장이 마련될 때면 청년·미래 세션이 빠지지 않는다. 피해 생존자와 연결된 실질적 감각이 부재한 포스트 메모리(후-기억) 세대에 대한 우려와 기대가 드러나는 부분이다. 기실 여성학, 법학, 외교학, 사회학, 역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진 연구자들의 연구성과는 축적되고 있다....
-
- 2022년 좌담 지금, 여기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란 무엇인가 〈1부〉 - ‘위안부’ 문제를 마주하다
-
일본군‘위안부’문제를 다룬 학술의 장이 마련될 때면 청년·미래 세션이 빠지지 않는다. 피해 생존자와 연결된 실질적 감각이 부재한 포스트 메모리(후-기억) 세대에 대한 우려와 기대가 드러나는 부분이다. 기실 여성학, 법학, 외교학, 사회학, 역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진 연구자들의 연구성과는 축적되고 있다....
논평
-
- 2022년 논평 도미야마 다에코의 예술-운동: 비/인간 존재의 ‘포스트 메모리’를 기다리며 (2)
-
#샤먼의 도입: 가해성을 인식하고, 문답적 증언과 전형적 표상을 벗어나다 두 번째 물음. 비체험자이자 구조적 가해자의 위치에서, 어떻게 피해 당사자에게 공감하고 자신의 문제로 연결시킬 수 있을까? ...
-
- 2022년 논평 도미야마 다에코의 예술-운동: 비/인간 존재의 ‘포스트 메모리’를 기다리며 (1)
-
#당사자와 동시대인의 죽음 앞에서 ...
-
- 2022년 논평 “국가 없는 애국자들”의 승리
-
1. 2022년 9월 29일 10시, 대법원 1호 법정에서 대법관이 판결문을 낭독했다. “원고 이○○ 외 95명, 피고 대한민국, 사건 2018다224408 손해배상(국), 상고와 부대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과 부대상고비용은 각자 부담한다.” ...
-
- 2022년 논평 여성 해방이 곧 사회의 해방이다: 2022 이란 시위와 글로벌 연대의 목소리
-
[[{"fid":"2689","view_mode":"default","fields":{"format":"default","alignment":"","field_file_image_alt_text[und][0][value]":"머리카락을 자르며 자유를 외치는 이란 여성들 ⓒ백정미","field_file_image_title_text[und][0][value]":"머리카락을 자...
-
- 2022년 논평 상처와 함께 열리는 새로운 정치 지평 - <2022 여성인권과 평화 국제 컨퍼런스> 참관기
-
[[{"fid":"2654","view_mode":"default","fields":{"format":"default","alignment":"","field_file_image_alt_text[und][0][value]":"2022 여성인권과 평화 국제 컨퍼런스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field_file_image_title_text[und][0]...
-
- 2022년 논평 일본군 전범 진술서를 읽으며 드는 단상(斷想)들
-
일본군‘위안부’ 중국 피해자와의 만남 ...
-
- 2022년 논평 증언, 공동의 목소리 - AI 인터랙티브 증언콘텐츠 전시 〈증언을 만나다〉
-
증언과의 우연한 조우 ...
-
- 2022년 논평 전쟁은 분명, 남자의 얼굴을 하고 있다
-
크리스티나 램 지음, 강경이 옮김, 『관통당한 몸: 이라크에서 버마까지, 역사의 방관자이기를 거부한 여성들의 이야기』(한겨레출판, 2022) 서평 ...
-
- 2022년 논평 페미니즘 국제정치학: 또 다른 이야기
-
이 글의 주요 내용은 황영주, 2021, “페미니즘 국제정치이론,” 박건영·신욱희 편, 『국제정치이론』(서울: 사회평론 아카데미)에 근거하고 있다. ...
-
- 2022년 논평 나는 반성한다 - 피해자 되기, 피해자 되기를 벗어나기
-
나는 좋은 청자였던 적이 없다. 미디어에 쏟아져 나오는 피해자의 말을 읽을 때 자주 화가 났다. 누구나 쉽게 미디어에 가해자를 고발하고 피해를 밝힐 수 있는 시대라지만, 피해자가 말을 할 수 있으려면 피해자의 말을 들어주는 청자, 응답하는 청자가 존재해야 한다....
-
- 2022년 논평 한반도 평화와 여성
-
[[{"fid":"2523","view_mode":"default","fields":{"format":"default","alignment":"","field_file_image_alt_text[und][0][value]":"여성이 참여하는 평화선언 ⓒ백정미","field_file_image_title_text[und][0][value]":"여성이 참여하는 평화선언 ⓒ백정미...
-
- 2022년 논평 모순을 증언하기: 이름 없는 증인 카체트닉의 사례
-
루스 프랭클린(Ruth Franklin)은 홀로코스트 문학을 다룬 저서 『천 개의 어둠 A Thousand Darknesses』에서 과거의 재난을 반복해서 다루고, 게다가 직설적으로 묘사하는 일의 윤리적 위험을 지적한다. 망자를 모욕하는 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 2022년 논평 일본군‘위안부’ 증언의 과거와 미래(2): 영원(永遠)한 증언과 ‘오지 않은(未來)’ 증언
-
[[{"fid":"2437","view_mode":"default","fields":{"format":"default","alignment":"","field_file_image_alt_text[und][0][value]":"여명의 눈동자(黎明之眼) ⓒ北京万龙飞腾影视文化传媒有限公司","field_file_image_title_text[und][0][value]":"여명의 눈...
-
- 2022년 논평 일본군‘위안부’ 증언의 과거와 미래(1): 증거로서의 증언과 행위로서의 증언
-
1991년 8월 14일 김학순의 증언은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공론화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김학순의 증언 이후 시민운동이 본격화되었으며, 학계는 사료 발굴 등 학술적 실천으로 응답하였다. 피해생존자의 증언은 대중에게 가장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메시지로서 사회적 호소력과 파급력을 보여주었다....
-
- 2022년 논평 AI에 기반한 현전의 증언은 어떤 감각을 만드는가?
-
1. 문자와 육성의 상이한 정동 ...
-
- 2022년 논평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법과 사법(司法)의 동향
-
*이 글은 2022년 8월 29일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전문가포럼 라운드테이블의 기조발제문입니다. ...
-
- 2022년 논평 ‘지역’에서의 일본군‘위안부’ 운동: 경상도 지역 역사관과 ‘지역성’에 대하여
-
2022년 기림의 날 특집: 현재진행형 ‘위안부’ 역사와 공존을 향한 연대 ...
-
- 2022년 논평 한일양국의 시민들과 함께 ‘위안부’문제에 관한 공동연구를!
-
2022년 기림의 날 특집: 현재진행형 ‘위안부’ 역사와 공존을 향한 연대 ...
-
- 2022년 논평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생존자는 셀 수 있는가
-
이 글의 제목과 내용은 다음 졸고에서 추린 부분이 많다. 이혜령, 「그녀와 소녀들: 일본군 ‘위안부’ 문학/영화를 커밍아웃 서사로」, 오혜진 외,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민음사, 2018. ...
-
- 2022년 논평 타인의 고통을 경청하기 위하여
-
2017년 1월, KT 케이블 TV 서비스인 올레TV 영화 검색어 카테고리 중 하나가 ‘성폭행 영화’라는 사실이 논란이 되었다. ‘성폭행 영화’ 카테고리에는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다룬 영화 <귀향>(조정래, 2016)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역사적 고통, 실재한 피해를 재현할 때의 윤리가 창작자와 수용자(그리고 플랫폼)에 왜 중요한지를 실감하게 한 사건이었다....
-
- 2022년 논평 그들의 싸움에서 우리의 ‘문제(question)’를 재발견하기: 학술 콜로키움 〈증언 이후〉 리뷰
-
1. 정의 없는 “정의의 집”과 진실 없는 역사 전쟁 ...
-
- 2022년 논평 〈되살아나는 목소리〉를 통해 본 영화 〈침묵〉에 대한 단상
-
최근 박수남 감독이 제작하고 있는 장편 영화 <되살아나는 목소리>의 가편집본을 보며 박 감독님과 감독님의 따님이자 이 영화의 프로듀서인 박마의 씨와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다. 전작인 <침묵>(박수남, 2017)의 한국 쪽 제작에 도움을 드렸던 인연으로 나는 감독님의 신작에도 함께 하게 되었다....
-
- 2022년 논평 ‘시체 구덩이’의 응시와 ‘위안부’ 피해 기억의 재현
-
훼손된 몸의 (비)재현 ...
-
- 2022년 논평 ‘위안부’ 문제를 여성인권의 틀로 사유한다는 것
-
1. ‘여성됨’의 문제 ...
에세이
-
- 2022년 에세이 <관부재판과 끝나지 않은 Herstory> 전시 이렇게 탄생했다
-
창원대학교박물관에서 영화 <허스토리>의 모티브가 된 여성운동가 고(故) 김문숙의 삶을 통해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일본의 책임을 인정한 단 한 번의 순간이었던 ‘관부재판’의 의미를 되새겨보는 전시를 마련했다. 전시 기간은 2023년 2월 15일부터 5월 19일까지다. ...
-
- 2022년 에세이 2022년 제2차 웹진 〈결〉 및 뉴스레터 독자만족도 조사 결과
-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깊이 있게 살펴보기 위해 온라인 공간에 자리를 마련한 지 어느덧 3년이 지났습니다.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웹진 <결>에 늘 한결같은 성원을 보내주시는 독자 여러분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
-
- 2022년 에세이 베를린 평화의 소녀상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 -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운동의 전 세계적인 성공 사례
-
[[{"fid":"2690","view_mode":"default","fields":{"format":"default","alignment":"","field_file_image_alt_text[und][0][value]":"베를린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2022.9.28) ⓒDong-Ha Choe ⓒKorea Verband","field_file_image_title_tex...
-
- 2022년 에세이 누가 이미지를 두려워하는가
-
2000년 8월, 도쿄에서 12월 8일에 열릴 ‘여성국제법정’을 앞두고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의 병원 진료 과정을 비디오로 촬영한 적이 있었다....
-
- 2022년 에세이 그 삶에 대한 축복의 이야기 - 일인극 〈캐러멜〉 제작기
-
[[{"fid":"2438","view_mode":"default","fields":{"format":"default","alignment":"","field_file_image_alt_text[und][0][value]":"연극 〈캐러멜〉 리허설 ⓒ극단 돌","field_file_image_title_text[und][0][value]":"연극 캐러멜 리허설_01 ⓒ극단 ...
-
- 2022년 에세이 다큐멘터리 〈코코순이〉 제작기
-
[[{"fid":"2428","view_mode":"default","fields":{"format":"default","alignment":"","field_file_image_alt_text[und][0][value]":"영화 코코순이 스틸컷 ⓒ커넥트픽쳐스(주)","field_file_image_title_text[und][0][value]":"영화 코코순이 스틸컷 ⓒ커...
-
- 2022년 에세이 2022년 제1차 웹진 〈결〉 및 뉴스레터 독자만족도 조사 결과
-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깊이 있게 살펴보기 위해 온라인 공간에 자리를 마련한 지 어느덧 3년이 지났습니다.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웹진 <결>에 늘 한결같은 성원을 보내주시는 독자 여러분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
-
- 2022년 에세이 창원 사람들이 만든 2022년 일본군‘위안부’ 기림일
-
[[{"fid":"2349","view_mode":"default","fields":{"title":"2022년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일 기념 추모제 및 청소년 문화제 ⓒ정갑숙","height":1190,"width":1586,"class":"media-element file-default cke_widget_element","data-delta":"3","format"...
-
- 2022년 에세이 다큐멘터리 〈애프터 미투〉를 통해 본 증언을 기록하는 일
-
2022년 기림의 날 특집: 현재진행형 ‘위안부’ 역사와 공존을 향한 연대 ...
-
- 2022년 에세이 그래픽 노블 『풀』 일본어 출판을 통해
-
1. 시작 ...
-
- 2022년 에세이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고 김양주 할머니를 보내드리며…
-
김양주 님은 1924년 전북 진안에서 태어나 1940년 마산 봉우제로 모이라는 말에 따랐다가 일본 순사들에게 끌려갔다. 1945년 해방이 될 때까지 만주의 위안소에서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내고, 해방되자 피난민 대열에 끼여 군함을 타고 진도에 도착했다. 이후 식모살이, 청소 등을 하며 대부분의 생애를 어렵게 살았지만 일본군‘위안부’피해자 등록을 하고 수요시위에도 참가했다....
-
- 2022년 에세이 이용수 선생님 방문기 2 - ‘세렌디피티 인 대구’
-
원투텐? 원투원! “아. 아… 여보세요 여보세요.” “렛 그랜마 리 카운트 텐.” “할머니, 하나부터 열까지 세보시래요.” “하나, 둘, 셋…” 10월 25일 아침. 이용수 선생님 댁 거실은 마이크 테스트가 한창이다. 영국 다큐멘터리 취재진이 선생님을 촬영하기 위해 방문했다. ...
-
- 2022년 에세이 수많은 “성찰”의 연속에서 - 〈2021 여성인권과 평화 국제컨퍼런스〉 후기
-
COVID-19와 온라인 개최 덕분에 얻은 특혜 ...
인터뷰
-
- 2022년 인터뷰 [최은영-양경언 대담] 여성의 글쓰기, 위로와 치유가 되다
-
최은영 작가의 첫 장편소설 『밝은 밤』(문학동네, 2021)은 ‘증조모-할머니-어머니-나’에 이르는 여성 4대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그리고 현재를 배경으로 장대한 서사를 엮어낸 이 작품은 역사에 기록되지 않았던 여성들의 시간을 불러내 기억하고 공유한다. ...
-
- 2022년 인터뷰 포스트메모리 시대 역사학자는 과거를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 황병주 편사연구관 인터뷰
-
영화 〈코코순이〉(이석재, 2022)는 이제까지 나온 일본군‘위안부’ 다큐멘터리와는 상당히 다른 작품이다. 2차 세계대전 말 연합군 포로심문보고서 49호에 ‘KOKO SUNYI’로 기록된 한국인 ‘위안부’ 여성의 삶을 추적하면서, 영화는 무엇보다 매우 트랜스내셔널한 시야를 보여준다. ...
-
- 2022년 인터뷰 김순악의 ‘이름’들을 부르다 - 영화 〈보드랍게〉 박문칠 감독 인터뷰
-
누군가를 완벽하게 이해한다는 건 불가능한 일일 테다. 하지만 누군가의 삶을 깊이 있게 들여다보는 것은 가능할지도 모른다. 다큐멘터리 〈보드랍게〉(2022)를 연출한 박문칠 감독은 영화를 통해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고(故) 김순악을 겹겹이 들여다본다. 그의 삶은 후대의 여성들에 의해 목소리로, 그림으로, 음악으로 되살아난다. ...
-
- 2022년 인터뷰 [라다 이베코비치-백영경 대담] 젠더화된 폭력과 전쟁으로 얼룩진 우리 시대의 여성 연대
-
이 인터뷰는 영문웹진 KYEOL에 게재된 “Women’s Solidarity in Our Troubled Times of Gendered Violence and War“를 국문으로 옮긴 것입니다. ...
-
- 2022년 인터뷰 [캐롤 글럭-김은실 대담] 민족주의를 넘어서: 현재 진행형 일본군‘위안부’ 역사와 젠더 정치
-
2022 기림의 날 특별 대담 (이 대담은 영문웹진 KYEOL에 게재된 “Beyond Nationalism: The Ongoing History of the “Comfort Women” and Gender Politics“를 국문으로 옮긴 것입니다.) ...
-
- 2022년 인터뷰 [김숨-소영현 대담] 최초의, 최선의, 최후의 질문 ‘듣기’
-
발화되지 못한 말을 듣는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김숨 작가의 중편소설 『듣기 시간』에 나타난 ‘침묵들이 말이 되는 자리’는 그간 우리가 놓친 증언자의 목소리를 되찾게 한다....
-
- 2022년 인터뷰 [김진아-김한상 대담] 여성 재현의 윤리와 난제들
-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는 <여성 재현의 윤리와 난제들>이라는 주제로 김진아 감독과 김한상 교수의 온라인 대담을 마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