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담
-
- 포스트 피해자 시대, 세대를 넘어 기억하기
-
‘위안부’ 피해 기억과 트라우마를 재현해온 매체로서 다큐멘터리가 이룬 성과와 한계, 그리고 나아갈 방향
-
- ‘위안부’ 피해와 트라우마를 어떻게 재현할 것인가
-
3편의 다큐멘터리를 통해 포스트 피해자 시대를 앞둔 우리 사회가 짚어 보는 기억과 재현의 방식들
-
- 국제법적 맥락에서 보는 전범 재판과 전쟁 책임
-
전범 자필진술서는 전쟁 범죄에 대한 접근 방식의 차이, 사죄의 의미나 용서 등 여러 가지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는 면에서 여러 화두를 던지고 있다.
-
- '중국귀환자연락회' 활동이 던지는 질문들
-
전범 자필진술서라는 형식의 고백이 어떻게 반성이나 성찰의 계기로 작용했을까 라는 질문이 떠오른다.
-
- 전범 자필진술서 속 범죄 고백과 '위안부'의 자리를 찾아서
-
법적 문서로서 진술이라는 점을 고려하고 자필진술서를 다시 보면 법적인 절차 속에서 자신이 저지른 행위를 죄로 자백한 것과 윤리적인 반성, 사죄는 별개의 문제라는 점을 알 수 있다.
-
- 밝은 미래: 20대의 감각과 생각 〈3부〉
-
일본군‘위안부’ 문제는 생존자 증언과 법정 투쟁, 한일 외교 공방을 거쳐 역사 대중화의 시기를 지나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 한국 사회의 20대 대학생들에게 이 문제는 어떻게 와 닿을까.
-
- 밝은 미래: 20대의 감각과 생각 〈2부〉
-
일본군‘위안부’ 문제는 생존자 증언과 법정 투쟁, 한일 외교 공방을 거쳐 역사 대중화의 시기를 지나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 한국 사회의 20대 대학생들에게 이 문제는 어떻게 와 닿을까.
-
- 밝은 미래: 20대의 감각과 생각 〈1부〉
-
일본군‘위안부’ 문제는 생존자 증언과 법정 투쟁, 한일 외교 공방을 거쳐 역사 대중화의 시기를 지나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 한국 사회의 20대 대학생들에게 이 문제는 어떻게 와 닿을까.
-
- 일본군‘위안부’ 역사교육 현장의 이야기를 듣다 Ⅱ
-
2023년 기림의 날 특집 교육좌담 2부
-
- 일본군‘위안부’ 역사교육 현장의 이야기를 듣다 I
-
2023년 기림의 날 특집 교육좌담 1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