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
- 학병의 사명과 '위안부'의 운명
-
제국주의 전쟁에 동원된 식민지 청년 학병과 '위안부'는 어떻게 엇갈린 역사적‧사회적 위치를 갖게 되었나.
-
- '말라야 롤라스'의 투쟁은 결코 끝나지 않았다!
-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의 인권 유린에 대항하는 투쟁과 저항, 그리고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한 필리핀 말라야 롤라스 이야기
-
- 일본군 ‘위안소’는 130년 전부터 있었다
-
일본 공창제의 역사를 따라가다 만나게 되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국가 차원의 책임
-
- 포스트 피해자 시대, 세대를 넘어 기억하기
-
‘위안부’ 피해 기억과 트라우마를 재현해온 매체로서 다큐멘터리가 이룬 성과와 한계, 그리고 나아갈 방향
-
- ‘위안부’ 피해와 트라우마를 어떻게 재현할 것인가
-
3편의 다큐멘터리를 통해 포스트 피해자 시대를 앞둔 우리 사회가 짚어 보는 기억과 재현의 방식들
-
- 싱가포르 일본군'위안부'들의 침묵에 대한 기록
-
가부장적 사회 분위기에서 침묵 '당했던' 싱가포르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진지한 연구와 성찰
-
- 일본 군인에게 '위안소 이용'이 의미하는 것
-
일본 군인들이 남긴 수많은 회고록을 통해 확인하는 '위안소'의 역할과 기능
-
- 한국YWCA는 왜 수요시위에 연대하는가
-
한국YWCA연합회 활동이 전하는 '위안부' 해결 운동과 연대의 의미
-
- 주민 거주 공간으로 활용돼 살아남은 위안소의 ‘아이러니’
-
상하이 훙커우구에 소재한 4곳의 일본군 위안소 유적지 답사기
-
- 까맣게 굳은 소독약과 파편들… 할머니는 왜 그렇게 오래 간직하고 있었을까
-
중국 상하이에 남겨져 있는 '위안부' 유적지와 박물관을 찾아 떠난 여행의 첫 탐방지 '중국'위안부'역사박물관'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