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
- 학병의 사명과 '위안부'의 운명
-
제국주의 전쟁에 동원된 식민지 청년 학병과 '위안부'는 어떻게 엇갈린 역사적‧사회적 위치를 갖게 되었나.
-
- 한국YWCA는 왜 수요시위에 연대하는가
-
한국YWCA연합회 활동이 전하는 '위안부' 해결 운동과 연대의 의미
-
- 주민 거주 공간으로 활용돼 살아남은 위안소의 ‘아이러니’
-
상하이 훙커우구에 소재한 4곳의 일본군 위안소 유적지 답사기
-
- 까맣게 굳은 소독약과 파편들… 할머니는 왜 그렇게 오래 간직하고 있었을까
-
중국 상하이에 남겨져 있는 '위안부' 유적지와 박물관을 찾아 떠난 여행의 첫 탐방지 '중국'위안부'역사박물관' 이야기
-
- ‘위안부’ 역사, 아시아 최대 위안소 유적 위에 복원되다
-
아시아 최대 위안소 유적지에 세워진 '난징 리지샹위안소 유적전시관'이 전하는 위안소 제도와 조선인 '위안부' 피해자들의 삶
-
- 2024년 웹진 〈결〉 독자만족도 조사
-
본 설문 조사는 웹진 <결>의 콘텐츠와 시스템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됩니다. 웹진 <결>을 이용하며 느끼신 만족스러운 부분이나 불편했던 점, 그리고 추가로 바라는 점들을 솔직하게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
- 오리발, 무성의, 냉담에 맞서 싸우다
-
여성 사업가에서 출발해 일생 여성인권 활동가, 일본군'위안부' 문제 연구자, 역사교육자의 길을 걸은 김문숙의 삶
-
- '위안부' 기록·정보를 만나는 지혜로운 자세, 일본군'위안부' 디지털 아카이브 총정리
-
일본군'위안부'의 역사에 대한 폄훼와 왜곡이 확산되고 있는 시기에 디지털 아카이브는 신뢰도 높은 정보 저장고이자 소통 플랫폼으로 역할을 키우고 있다.
-
- 박수남과 함께하는 ‘여행’
-
<2024 기림의 날 웹진 '결' 온라인 영화제> 상영작 <아리랑의 노래-오키나와의 증언>을 연출한 박수남 감독의 치열한 세계로 들어가는 웅숭 깊은 안내
-
- 감독의 목소리로 만나는 <오키나와의 할머니>
-
<2024 기림의 날 웹진 '결' 온라인 영화제> 상영작 중 한 편인 <오키나와의 할머니>를 더욱 깊이 있게 만날 수 있도록 돕는 감독의 솔직한 제작 이야기
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