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글 다시보기
2023년 발행된 기사가 총 9건 있습니다.
좌담
-
- 2023년 좌담 피, 땀, 눈물: 일본군‘위안부’ 풀뿌리 운동사의 흔적을 매만지며 〈2부〉
-
지난 2월 15일, 창원대학교박물관에서 여성인권운동가 김문숙(1927-2021)의 생애와 관부재판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는 전시 〈관부재판과 끝나지 않은 Herstory〉가 개관했다....
-
- 2023년 좌담 피, 땀, 눈물: 일본군‘위안부’ 풀뿌리 운동사의 흔적을 매만지며 〈1부〉
-
지난 2월 15일, 창원대학교박물관에서 여성인권운동가 김문숙(1927-2021)의 생애와 관부재판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는 전시 〈관부재판과 끝나지 않은 Herstory〉가 개관했다....
논평
-
- 2023년 논평 일본군의 중국 여성에 대한 잔혹행위 기록하기
-
필자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연구를 시작한 것은 20여 년 전의 일로, 당시 나는 한일 ‘위안부’ 피해구제(redress) 운동을 주제로 졸업 논문을 쓴 바사대 학생과 함께 작업하고 있었다....
-
- 2023년 논평 기억의 바다를 넘어서 - 관부재판이 1990년대 일본 사회에 물었던 것
-
관부재판이 시사하는 것 ...
-
- 2023년 논평 냉전 시기 대만의 슬픈 낙원, 軍中樂園
-
2차 세계대전이 일본의 패전으로 끝나자 아시아 각지의 일본군‘위안소’들은 자연스럽게 자취를 감추었다. 그러나 그 후에도 군인 전용 성매매업소로서의 군 ‘위안소’(이하 따옴표 생략)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일본군을 대상으로 하지 않았을 뿐 오히려 새로운 군대를 위한 위안소들이 전후 각국 정부에 의해 잇달아 설치되었기 때문이다....
-
- 2023년 논평 일본군‘위안부’와 여성인권에 접근하는 네덜란드의 양면성
-
[[{"fid":"2826","view_mode":"default","fields":{"format":"default","alignment":"","field_file_image_alt_text[und][0][value]":"티모르(Timor)섬의 일본군 위안소에서 1945년 여름 해방된 인도네시아 현지 여성들 ⓒAutstralia War Memorial","field_fi...
-
- 2023년 논평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일본군‘위안부’와 바타비아 임시군사재판의 의의
-
[[{"fid":"2813","view_mode":"default","fields":{"format":"default","alignment":"","field_file_image_alt_text[und][0][value]":"1947년 6월 바타비아에서 행해진 네덜란드 임시군사재판의 모습(일본인 통역과 변호인 참석) ⓒCollectie Nederlands Instituut ...
에세이
-
- 2023년 에세이 약하고 낮고 투박하지만 - 박숙이 생애사 연구
-
[[{"fid":"2890","view_mode":"default","fields":{"format":"default","alignment":"","field_file_image_alt_text[und][0][value]":"박숙이 님. 2015년 2월 병원 입원 후 남해여성회에서 제작한 책을 보고 기뻐하셨다....
인터뷰
-
- 2023년 인터뷰 원폭 피해자들은 왜 ‘유령’이 되었나 – 사진작가 김효연 인터뷰
-
1945년 8월, 2차 세계대전이 끝나갈 무렵 미국은 일본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을 투하한다. 이로 인해 총 32만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그중 한국인은 7만여 명에 달한다. 원폭 피해는 한 세대에서 끝나지 않고 대를 이어 내려오기에, 현재 피해자들은 4세대에 걸쳐 후유증을 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