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
- Uncovering the Tragic Legacy: Movement for the Victims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in Timor
-
본 콘텐츠는 영문으로 발행되었습니다. 오른쪽 상단의 [EN]을 클릭하여 영문 웹진 <KYEOL>을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
- '중국귀환자연락회' 활동이 던지는 질문들
-
전범 자필진술서라는 형식의 고백이 어떻게 반성이나 성찰의 계기로 작용했을까 라는 질문이 떠오른다.
-
- 전장 없는 '주전장'과 정쟁화된 '위안부' 문제
-
'역사전쟁', '기억전쟁'이라는 수사 속에서 역설적으로 무수한 사람들이 죽고 여자들이 강간을 당한 실제 전쟁이 희미해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성찰할 필요가 있다.
-
- 전범 자필진술서 속 범죄 고백과 '위안부'의 자리를 찾아서
-
법적 문서로서 진술이라는 점을 고려하고 자필진술서를 다시 보면 법적인 절차 속에서 자신이 저지른 행위를 죄로 자백한 것과 윤리적인 반성, 사죄는 별개의 문제라는 점을 알 수 있다.
-
- 일본군 전범이 말하는 ‘위안부’ 동원
-
피해자 증언이나 일본군, 일본 정부 차원에서 작성한 공문서와 달리 일본군인 개인 스스로 적나라한 가해 경험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전범 자필진술서'의 사료적 가치는 각별하다.
-
- 김학순 할머니, 창작판소리로 되살아나다
-
진실의 반대는 거짓이 아니라 망각. 일본군'위안부' 피해 할머니와 그 역사를 잊지 않으려는 바람과 노력이 또 한 편의 공연으로 빚어졌다. 창작판소리 '별에서 온 편지-김학순歌'이다
-
- '위안부 역사관'은 역사 부정 세력 극복하는 장기 처방전
-
일본군'위안부' 역사를 왜곡하는 오염된 정보가 증가하고, '수요맞불집회'는 멈출 기미가 없다. 이럴 때 보다 차분하게 머리를 맞대고 우리에게 일어나고 있는 일과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
- 영화 「아이 캔 스피크」와 ‘서발턴’의 말하기
-
영화 「아이 캔 스피크」와 ‘서발턴’의 말하기를 통해 발견하게 되는 질문을 따라가며 우리가 도달해야 할 지점은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세계화'하는 현재의 담론과 운동의 방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다.
-
- 나치 독일 여성 수용소 ‘라벤스브뤼크 기념관’을 가다
-
무책임한 일본 정부를 압박할 때 자주 소환되는 '과거 청산 모범국' 독일. 그러나 독일에서도 성 강제노동 피해자들은 이중 삼중으로 배제되었고, 지금까지 법적 피해자 지위 인정은 물론 배보상이 이뤄지지 않았다.
-
- 우익적이거나 양심적이거나?
-
당신은 혐한 우익? 아니면 양심적 일본인? 한국에서 일본어를 가르치면서 일본군'위안부' 문제 연구 활동에도 참여한 마치다 타카시 교수는 두터운 이분법적 인식, 선악으로 단순화하는 태도에서 벗어나 좀 더 성숙한 시선으로 역사를 바라볼 때라고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