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
- 일본군‘위안부’ 역사교육 현장의 이야기를 듣다 Ⅱ
-
2023년 기림의 날 특집 교육좌담 2부
-
- 일본군‘위안부’ 역사교육 현장의 이야기를 듣다 I
-
2023년 기림의 날 특집 교육좌담 1부
-
- 샌프란시스코 시민운동과 미국에서 일본군‘위안부’ 역사교육이 가지는 의미
-
초국가적 여성인권 운동으로 자리매김한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들의 인권운동은 큰 힘이자 계승해야 할 소중한 가치이다.
-
- 배봉기 씨가 오키나와에서 걸어온 전후(戦後)
-
배봉기 씨는 이 세상에 없다. 하지만 지금도 많은 오키나와 사람들의 마음속에 배봉기 씨는 살아 숨 쉬고 계신다.
-
- 위안부피해자법에 대한 역사적 검토: 보호·지원을 넘어 인권의 문제로
-
1993년 제정된 위안부피해자법은 한국 사회의 일본군‘위안부’ 문제와 그 피해자들을 보는 시각의 변화를 반영하며 바뀌었고, 또 그것을 바꿔온 기제이기도 했다. 위안부피해자법 제정 30주년을 맞이하여 제정 경위와 내용의 변화, 그 의미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
- 2023년 제1차 웹진 <결> 독자만족도 조사 결과
-
“웹진 <결>의 콘텐츠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시나요?” “가장 유용한 카테고리는 무엇인가요?” 여러분들의 소중한 참여로 만들어진, 2023년 제1차 웹진 <결> 독자만족도 조사 결과를 소개합니다.
-
- ‘위안부’ 문제와 일본 국회 입법운동 (2)
-
일본의 남성 중심 사회야말로 ‘위안부’ 문제를 일으킨 근본 원인이다. 결국 이 구조적인 문제 때문에 일본 국회가 자력으로 입법 해결을 하지 못했다고 확신한다.
-
- ‘위안부’ 문제와 일본 국회 입법운동 (1)
-
아무리 생각해도 일본은 국가로서 책임을 져야 한다. 운동을 재개하기 위해서는 입법 해결을 목표로 하는 시민운동이 필요했다. 그리하여 1996년 12월에 ‘‘위안부’ 문제의 입법 해결을 요구하는 모임’이 결성되었다.
-
- 〈관부재판과 끝나지 않은 Herstory〉 전시를 보고
-
관부재판 원고들의 일이나 그들과 함께 투쟁한 우리들을 잊지 않고, 잊히지 않게 하는 것. 그것은 그들이 준 선물이며 숙제다.
-
- ‘틈새’의 시점에서 본 일본군‘위안부’ 운동 〈2부〉
-
내셔널한 공동체의 안과 밖, 그 사이-틈새라는 어려운 자리/비판적 위치에서 한국과 일본 사회를 경험하며 ‘위안부’ 문제를 성찰해 온 야마시타 교수를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이헌미 학술기획팀장이 만나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