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
- 타인의 고통을 경청하기 위하여
-
『듣기 시간』은 ‘보여주지 않음으로써’ 보게 하고, ‘말하지 않음으로써’ 경청하게 한다. ‘말할 수 없음’을 경청하라. 아마 『듣기 시간』을 요약하면 이 문장이 될 것이다.
-
- 그들의 싸움에서 우리의 ‘문제(question)’를 재발견하기: 학술 콜로키움 〈증언 이후〉 리뷰
-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2022년 학술 콜로키움 <증언 이후: 일본군 ‘위안부’ 피해 재현의 윤리와 폭력>
-
-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고 김양주 할머니를 보내드리며…
-
할머니와 옷깃 한 번의 스침이라도 있었거나 이마저도 없지만 일본군‘위안부’의 고통에 공감했던 많은 분들이 장례식장을 찾았다. 모두가 한마음이었다. 할머니가 편안하시길 빌고 할머니를 기억하고자 하는 마음이었다.
-
- 당신의 이름은
-
‘한 명’의 시대에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정부 등록 생존자 숫자를 세는 일이 아니다. 오히려 240명과 20만 명 사이에서 ‘가라앉은 자’들의 이름을 불러내야 한다.
-
- 이용수 선생님 방문기 2 - ‘세렌디피티 인 대구’
-
대구의 생존자들은 돌아왔을 뿐 아니라 그 땅에서 웃고 떠들고 잠을 청했다. ‘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희움 역사관’ 등 이웃들의 따뜻한 마음 때문이었을까. 이곳에는 희움을 ‘喜움’이라 부르게 하는, 알 수 없는 힘이 느껴진다.
-
- 〈되살아나는 목소리〉를 통해 본 영화 〈침묵〉에 대한 단상
-
최근 박수남 감독이 제작하고 있는 장편 영화 <되살아나는 목소리>의 가편집본을 보며 박 감독님과 감독님의 따님이자 이 영화의 프로듀서인 박마의 씨와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다. 전작인 <침묵>(박수남, 2017)의 한국 쪽 제작에 도움을 드렸던 인연으로 나는 감독님의 신작에도 함께 하게 되었다.
-
- ‘시체 구덩이’의 응시와 ‘위안부’ 피해 기억의 재현
-
후기식민지 한국 사회에서 여성들의 피해는 어떻게 재현되며 여기에는 어떤 응시가 작동하는가. 그 응시가 궁극적으로 보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
- ‘위안부’ 문제를 여성인권의 틀로 사유한다는 것
-
피해자의 말을 청취하고자 하는 여성주의의 윤리는 현재 우리가 도달한 성장의 불법성과 폭력성을 인지하고 배제된 자들 중심의 사회적 재편을 모색하는 정치학의 같은 말일지 모른다.
-
- 독자에게 듣는다. 2021년 웹진 〈결〉 어땠나요?
-
2021년을 마무리하며 한 해 동안 <결>과 함께 해 준 독자들로부터 <결>에 대한 다양한 생각과 바람 등을 들어보았다.
-
- 수많은 “성찰”의 연속에서 - 〈2021 여성인권과 평화 국제컨퍼런스〉 후기
-
COVID-19와 온라인 개최 덕분에 얻은 특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