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담
-
- 일본군‘위안부’ 투쟁 영역의 확장 〈1부〉 - 부딪치는 차이들
-
두 번째 청년좌담에서는 젊은 연구자이자 활동가인 이은진, 이재임, 최성용과 만나 이들의 삶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가 어떤 의미와 동인이 되고 있는지 물었습니다.
-
- 지금, 여기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란 무엇인가 〈3부〉 - 따옴표 옮기기: ‘위안부’에서 ‘문제’로
-
일본군‘위안부’문제 공론화 이후로 적지 않은 시간이 흐른 지금, 이곳에서 젊은 연구자들이 던지고 있는 질문은 무엇일까.
-
- 지금, 여기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란 무엇인가 〈2부〉 - ‘위안부’ 문제의 세대 전환
-
일본군‘위안부’문제 공론화 이후로 적지 않은 시간이 흐른 지금, 이곳에서 젊은 연구자들이 던지고 있는 질문은 무엇일까.
-
- 지금, 여기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란 무엇인가 〈1부〉 - ‘위안부’ 문제를 마주하다
-
일본군‘위안부’문제 공론화 이후로 적지 않은 시간이 흐른 지금, 이곳에서 젊은 연구자들이 던지고 있는 질문은 무엇일까.
-
- 독자에게 듣는다. 2021년 웹진 〈결〉 어땠나요?
-
2021년을 마무리하며 한 해 동안 <결>과 함께 해 준 독자들로부터 <결>에 대한 다양한 생각과 바람 등을 들어보았다.
-
- 독자에게 묻는다. 2019년 웹진 〈결〉 어땠나요?
-
웹진 <결> 독자토크
-
- 2011년 헌법재판소의 부작위위헌 결정, ‘위안부’ 문제의 흐름을 바꾸다
-
<1부> 남기정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 조양현 (외교안보연구소) / 조시현 (민족문제연구소)
-
- 2015년 12.28 한일 ‘위안부’ 합의의 법적 구속력은 어디까지인가
-
<2부> 남기정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 조양현 (외교안보연구소) / 조시현 (민족문제연구소)
-
- 진실 규명을 위한 양국 간의 책임 있는 대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
<3부> 남기정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 조양현 (외교안보연구소) / 조시현 (민족문제연구소)
-
- 정영환X박노자 온라인 대담 - 탈분단적 시각으로 바라봐야 할 ‘위안부’ 문제 DAY 1
-
정영환 (메이지학원대학 교수) 박노자 (오슬로 국립 대학 교수)
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