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검색
-
- 2021년 인터뷰 ‘주전장’을 줌인하다 - 영화 〈주전장〉 미키 데자키 감독 인터뷰
-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주전장’은 어디일까. 최근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왜곡된 내용을 논문에 실어 논란을 일으킨 하버드 교수 사건만 보더라도 주된 싸움터 중 하나가 미국임을 알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일본계 미국인 미키 데자키(Miki Dezaki) 감독의 다큐멘터리 <주전장>(2019)이 갖는 의미는 여전히 유효하다. 한국, 미국, 일본 등 3개국을 가로지르며 관계자들의 목소리를 세밀하고 촘촘하게 담아낸 이 영화는 현재 각국에서 ‘위안부’ 이슈가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 보여준다. 특히 감독은 일본 우익세력의 목소리를 전면에 담아냄으로써 과거보다 더욱 복잡하고 교묘해진 ‘부정론자’들을 집중적으로 파고든다. 일본의 역사수정주의자들은 왜 ‘위안부’ 문제를 비롯한 전쟁 범죄와 제국주의적 침략을 부정하는 것일까. 그들을 넘어 ‘위안부’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고 여성 인권에 대한 정의를 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어떤 논의가 개진되어야 할까. 이를 묻고 답하기 위해 김은경 한성대 상상력교양대학 교수가 인터뷰어로 나서 미키 데자키 감독과 서면으로 이야기를 나눴다. 그 대화를 전한다. Q. <결>의 독자들을 위해 감독님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영화 <주전장>의 감독이자 제작자인 미키 데자키입니다. 인터뷰를 요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Q. 영화의 제작 동기와 기획 의도를 알고 싶습니다. <주전장>을 통해 관객과 어떤 이야기를 나누고 싶으셨나요? 저는 영화감독이 되기 전에 태국에서 불교 승려로 수행한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내면과 외면의 평화에 상당히 관심이 많았지요. 제가 대학원에 다닐 때에는 학문적으로 세계 평화에 기여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저는 한국과 일본이 계속 갈등을 겪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한 적이 많았는데요. 두 나라의 정부와 국민들을 화합하지 못하게 만드는 주요 문제 중 하나가 일본군‘위안부’ 문제라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볼 때, 갈등은 오해에서 비롯되는 것이기 때문에, ‘위안부’ 문제에 관한 다양한 맥락과 정보를 담은 영화를 제작한다면, 한국과 일본 국민들이 이 문제에 대해 더 잘 알게 될 것이고, 서로의 관점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결과적으로는 한국인들과 일본인들이 이 문제에 대해 더욱 건설적이고 생산적인 대화를 함으로써 양국간의 화해, 정의, 평화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면서 이 다큐를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관객과 어떤 이야기를 나누고 싶었는지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제가 영화를 통해 특별히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한 것은 아닙니다. 다만, 이 영화를 통해 한국인들과 일본인들이 이 문제가 얼마나 복잡하고 미묘한 문제인지 인식하고, 이들이 자국의 언론을 통해 전달받는 많은 정보들이 서로에 대한 증오와 반감을 부추기는 식으로 필터링되기도 한다는 점을 알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이 다큐의 가장 중요한 메시지라면, 한국과 일본의 주장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봤을 때 ‘위안부’ 제도는 일본군의 성노예 제도였음이 상당히 분명하며, 일본 정부가 이러한 역사를 삭제하려는 행위는 ‘위안부’ 제도 피해자들에게 부당한 행위라는 것입니다. Q. 내레이션을 통해 감독님의 시각과 목소리를 노출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일본계 미국인 남성으로서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에 대해 어떤 고민을 하셨나요? 처음에는 제가 직접 내레이션을 할 생각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온갖 연구조사와 인터뷰를 하며 복잡한 과정을 겪은 끝에 최종 편집 작업을 하면서, 관객들도 나와 같은 여정을 경험한다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즉, 이 다큐를 위해 연구조사와 인터뷰를 하는 동안 제가 느꼈던 힘들고 복잡했던 감정들을 관객들도 경험해보면 어떨까 하고 생각했지요. 일본계 미국인이라는 정체성을 드러낸 이유는 이러합니다. 저는 이 문제에 있어서 제3자인 동시에, 그런 전쟁범죄를 저지른 나라에 뿌리를 두고 있는 사람이기도 합니다. 저는 관객들에게 그런 정체성을 가진 사람이 이 문제에 대해 어떤 관점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결론을 내렸는지를 알려주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일본에서 10년 넘게 거주한 경험이 있고 부모님도 일본 분들이기 때문에, 일본인들이 ‘위안부’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그 미묘한 뉘앙스를 비일본계 미국인들보다는 더 잘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어떤 일본인들은 제가 일본의 미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일본계 미국인으로서 이 영화를 제작했다는 점을 존경하며 그렇기 때문에 이 영화가 더욱 신빙성이 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Q. 왜 일본 역사수정주의자들은 제국주의 침략과 ‘위안부’ 피해를 부정할까요? 저도 그 점이 궁금할 때가 많습니다. 일본 정부와 역사수정주의자들은 자신들의 국제적인 평판을 떨어뜨리면서까지 많은 시간과 돈, 에너지를 들여서 그러한 역사관을 전파하고 있거든요. 제가 볼 때 그 이유는 일본인들이 다른 아시아인들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보수우익 집단을 형성하기 위함인 것 같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 때 천황을 위해 기꺼이 목숨을 버리려고 하던 사람들처럼, 다시 한번 국가를 위해 죽음을 불사하는 국민 집단을 만들려는 것이지요. 이것은 자민당과 일본회의(日本会議)가 평화헌법을 개정해서 재군비를 추진하려는 야욕과 일맥상통하는 바가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일본이 다른 국가들보다 우월하고 순수하다는 근거 없는 믿음을 만들어 냄으로써, 더 많은 일본인들이 군대를 지지하고 입대를 마다하지 않게끔 유도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국민들이 자신의 국가가 과거에 무력을 남용하고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고 믿게 되면, 그 국민들에게 군대를 지지해 달라고 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입니다. Q. 미국의 역사수정주의자들은 일본 정부나 사회단체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나요? 미국에 있는 일본계 미국인 단체 일부가 일본 역사수정주의자 단체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단체들의 리더들은 미국과 일본을 오가면서 심포지엄을 열고 기금 모금도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제 영화에도 출연했던 일본회의 도쿄 본부장인 가세 히데아키(加瀬英明)는 캘리포니아 글렌데일에서 한 일본계 미국인 단체가 제기했던 ‘평화의 소녀상’ 철거 소송을 위해 백만 달러를 모금하는 데 힘썼습니다. LA 일본 영사관도 그 소녀상을 철거할 것을 전적으로 지지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본 정부가 이런 사회단체들과 직접 접촉하지는 않을 수도 있지만, 일본 정부 역시 동일한 명분을 위해 싸우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가 위 일본계 미국인 단체가 제기한 글렌데일 소녀상 철거 소송에 대해 ‘법정 조언자 의견서(amicus brief)’와 같은 지지 서한을 보낸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이 소녀상을 철거하기를 원했던 사람들은 대부분 이민 1세대(즉, 일본에서 미국으로 이민 온 세대) 일본계 미국인들이었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민 2,3,4세대 일본계 미국인들은 차별당하는 입장에 놓이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더 잘 알기 때문에 ‘위안부’ 운동을 지지하는 편입니다. Q. 이른바 ‘램지어 사태’로 미국의 역사수정주의 학자들이 새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이들이 주로 어떤 활동과 발언을 해왔는지 알고 싶습니다. 램지어 교수 사건은 미국 학자들이 자신의 학문적인 권위를 이용해 연구의 질이 떨어지는 논문을 저명한 학술지에 발표함으로써 일본 역사수정주의자들의 시각을 뒷받침하는 행태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다행히도 많은 학자들이 램지어 교수의 논문에 반박을 했고, 이제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는 램지어 교수를 신뢰할 수 없다는 여론이 형성됐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미국인 학자들이 일본 역사수정주의자들의 역사관을 확산시키기 위해 관련 책을 쓰고 대담을 하며 일본의 인터뷰에 응하는 등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 중 제일 유명한 사람이 제 영화에도 나왔던 켄트 길버트(Kent Gilbert) 변호사입니다. 그는 일본 역사수정주의자들의 역사관을 지지하는 유명한 책들을 발간한 바 있고, 극우 TV 프로그램에 정기적인 기고를 하고 있습니다. 또 몇몇 미국 학자들이 이와 동일한 행보를 보이면서 일본에서 유명세를 얻고 있습니다. 안타깝지만 이런 현상이 빠른 시일 내에 사라질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일본 보수우익들이 자신의 역사관을 백인 미국인들에게 검증받고 싶어 하기 때문입니다. Q. 일본군‘위안부’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 이유 중 하나가 (신)냉전체제와 동북아 안보논리를 내세운 미국의 ‘보이지 않는’ 역할 때문이라는 의견이 있습니다. ‘주전장’인 미국은 이 문제에 어떤 관련이 있다고 보시나요? 영화 후반부에 보면, 우리가 ‘위안부’ 문제와 일본의 정치적 상황에 대처하면서 현 상황에 이르기까지 미국이 꽤 큰 역할을 했다는 제 내레이션이 나옵니다. 미국은 –‘위안부’ 피해 여성들과 한국을 위한 진정한 화해와 정의가 무엇을 뜻하는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과거사 문제에 대한 화해를 두고 한국과 일본을 밀어붙인 게 분명해 보입니다. 저는 미국인으로서 이 내용을 제 영화에 꼭 넣고 싶었습니다. 즉, 미국인들에게 한일 ‘위안부’ 문제는 우리와 동떨어진 일이 아니고, 미국도 이 문제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현 상황에 대해 어느 정도 책임을 통감해야 하며, 문제 해결과정에 참여하고 정의를 위한 운동을 지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고 싶었습니다. 지금 미국 일각에서는 과거 미국 내 소수인종들에 행해졌던 차별행위들을 되돌아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미국의 역사가 얼마나 편파적으로 기록됐는지 살펴보고 있지요. 저는 이 영화를 계기로 미국도 다른 나라들에 행했던 부정적인 행위들을 살펴보고 깨달음을 얻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Q. 글렌데일의 ‘평화의 소녀상’은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초국적 기억 형성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까요? 저는 ‘평화의 소녀상’이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인식을 일깨우는 데 매우 효과적인 역할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가장 큰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일본계 미국인 단체들과 일본 영사관이 이 소녀상에 대해 너무 심한 반대를 하는 바람에 여러 미디어의 조명을 받게 됐기 때문이지만요. 일본에서는 ‘위안부’에 대한 기억이 지워지고 있기 때문에 ‘평화의 소녀상’이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평화의 소녀상’은 전세계가 이 중요한 역사를 잊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일본에 일깨워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일본이 이 역사를 지우려고 할수록, 이 소녀상의 중요성은 더 커질 것입니다. Q. 다큐 제작 과정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가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다큐를 제작하면서 기억에 남는 순간들이 많았습니다만, 편집과정에서 삭제된 한 독일 사학자와의 인터뷰 내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는 이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우리가 보통 문서로 기록된 것들을 가장 강력한 역사적 근거 자료라 여기고 구술 증언은 근거가 빈약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역사로 기록된 문서들은 특권이나 권력을 가진 사람들이 남긴 자료라는 것입니다. 만약 문서 기록에만 의존해서 역사를 쓴다면, 정부 엘리트 시각에서 본 역사가 되는 것이지요. 구술 증언은 보통 글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설명할 수 없었던 가난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기 때문에 역사적 근거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잘 알려져 있는 대로, 일본은 과거 전쟁에서 미국이 일본에 도착하기 전에 대부분의 문서들을 태워버리고 일본인들이 알기를 바라는 문서만 남겨두었습니다. 따라서 역사를 쓸 때에는 문서기록에만 의존하지 않도록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Q. <주전장> 개봉 후 영화에 출연한 역사수정주의자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나요? 그들은 이 영화를 보고 굉장히 화가 난 것으로 보였습니다. 이들은 제 다큐의 신빙성을 떨어뜨리기 위해 기사를 쓰고, 동영상을 제작하고, 심포지엄을 열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공격을 꼽자면, 제가 단순 인터뷰를 하는 것처럼 자신들을 속였기 때문에 이 다큐가 잘못됐다고 주장하면서 저를 고소한 것인데요. 이들은 저와 인터뷰를 할 때 자료이용 공개 허가서(release form)에 모두 서명을 했기 때문에 그런 주장은 터무니없는 이야기입니다. 저는 이 소송이 공적 참여를 방해하기 위한 전략적 소송(SLAPP: Strategic Lawsuit Against Public Participation), 즉 겁을 줘서 상대방을 침묵하게 만들려는 소송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소송은 사회 전반적으로 침묵을 강요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매우 위험합니다. 예술가, 활동가 등 많은 사람들이 하고 싶은 말이 있어도 나중에 소송당할 것이 두려워 권력을 가진 단체나 사람들에 대해 자유로운 비판을 하기가 어려워지는 것이지요. 미국의 여러 주에서는 SLAPP소송이 언론과 의사 표현의 자유를 저해한다고 인정되면, 그러한 소송을 제기한 개인이나 조직에 벌금형을 내리는 SLAPP 금지법이 있습니다. Q. <주전장>에 대한 각국 관객의 반응이 궁금합니다. 미국과 유럽 국가들 중에서도 특히 독일 관객이 이 문제에 가장 많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독일이 과거에 전쟁 범죄를 저지른 역사가 있기 때문에 그런 것 아닐까 싶습니다. 독일 관객들은 일본인들이 자국 역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과거 전쟁 범죄에 대해 사과하지 않는 태도를 보이는 것에 굉장히 놀라워했습니다. 미국 관객들도 이 이슈에 상당한 관심을 보였는데요. 미국인들은 특히 여성의 인권 측면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미투 운동’이 미국 사회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에 ‘위안부’ 피해 여성들의 경험을 ‘미투 운동’ 참여 여성들의 경험과 연결해서 동질감을 느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에서는 많은 젊은 여성분들이 저에게 ‘이 문제가 단순히 두 나라 간의 싸움이 아니라 인권과 여성의 권리에 관한 문제라는 것을 처음으로 깨닫게 됐다’고 말해주었습니다. 그들은 ‘위안부’ 피해여성들을 지지하는 일본인 학자들과 활동가들을 보고 이를 깨달았다고 했는데, 한국 언론에서는 전혀 보지 못했던 것이라고 했습니다. 일본 청년들이 제 영화에 대한 생각을 이야기해줬을 땐 희망을 볼 수 있었기에 정말 특별한 기분이 들었습니다. 일본의 많은 젊은 이들이 자신은 ‘위안부’ 문제에 대해, 그리고 일본정부가 이 문제와 관련하여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잘 몰랐는데, 이 다큐에 나온 내용들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고 했습니다. 예전에는 일본정부가 옳은 일을 하고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한국인들이 이 과거 문제에 분노한다는 말을 들었을 때 한국인들은 비이성적이라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또 일본 미디어가 ‘위안부’ 문제에 대해 역사수정주의적 관점만 보도한 적이 많았기 때문에 영화를 보면서 예전에는 전혀 몰랐던 정보를 알게 됐다고 하는 일본 청년들도 있었습니다. 이들은 이 영화를 통해 새로운 시각을 배웠고, 자신이 예전에 ‘위안부’ 문제에 대해 갖고 있던 생각에 의문을 제기하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습니다. Q. 일본군‘위안부’ 역사는 현재 젠더 불평등을 포함한 글로벌 인권 문제를 이해하는 데 어떤 도움이 될까요? ‘위안부’ 역사는 글로벌 인권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왜냐하면 이는 한국인들이 물건이나 화물처럼 인간 이하의 대우를 받으면서 인간으로서의 자유와 존엄성을 박탈당했던 역사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위안부’ 피해가 여성에게 국한됐으며, 남성이 여성을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가진 존재로 인식하지 않았던 문제이기도 하기 때문에, ‘위안부’ 역사는 여성의 권리 문제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위안부’ 피해 여성들이 사회적인 수치심 때문에 오랜 세월 동안 침묵을 강요당하고 자신의 피해 경험을 숨겨야만 했다는 점을 고려해 보더라도, ‘위안부’ 역사는 여성의 권리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여성들은 지금도 역사를 삭제하려는 일본 정부에 의해 다시 한번 침묵을 강요당하고 있습니다. Q. 차기작 계획이 있으면 간략히 소개해주세요. 현재 차기작을 위해 리서치를 하는 중이지만, 구체적인 주제는 아직 말씀드리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한국과 일본간의 또 다른 정치적 이슈를 다루게 될 것 같아요. Q. 마지막으로, 한국 관객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저와 제 영화를 지지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요즘 소송에 대응하느라 힘든 시간을 보낼 때가 있는데, 많은 한국 분들이 보내주신 따뜻한 메시지들이 저에게 정말로 많은 힘이 됩니다. 언젠가 코로나 팬데믹이 잠잠해지면 한국에 가서 여러분들을 직접 만나 뵙고 싶습니다. 부디 안전하고 건강하게 지내십시오! 인터뷰어: 김은경 한성대 상상력교양대학 교수 인터뷰이: 미키 데자키 감독 인터뷰 도움: ㈜시네마달 일시: 2021.07.06.
-
- 2021년 논평 박필근을 기억하다
-
웹진 <결>은 2021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맞아 ‘박필근’을 기억하고자 합니다. 경북지역의 유일한 ‘위안부’ 피해 생존자로 알려지는 그는, 일본군에 의해 16세 당시 강제로 끌려가 공장에서 위안소로 옮겨져 2차례의 탈출 시도 끝에 겨우 고향에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현재는 포항의 작은 집에서 포항여성회를 비롯한 지역의 많은 이웃들과 함께 더불어 ‘박필근 할머니’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지난 해에는 지역 창작자들이 함께 모여 창작 판소리 <박필근뎐>을 만들어 그의 삶을 알리기도 했었죠. 이렇게 역사는 계속해서 쓰여지고 있습니다. ‘피해자’에서 ‘생존자’를 넘어 단단하게 삶을 이어가고 있는 박필근과 또다른 많은 박필근들. 그 모든 소중한 이름을 우리가 계속해서 불러야 하는 이유입니다. [2021 기림의 날 특집] 박필근을 만나다 1. [논평] 박필근을 기억하다 2. [포토스토리] 사진으로 만나는 박필근 3. [에세이] 소중한 우리 할머니, 박필근 - ‘시간과 기억을 잇다’ 4. 우리 모두가 ‘박필근’이다-창작판소리 ‘박필근뎐’과 솔직히 말해서 판소리 ‘나비가 그랬어’ 창작노트 1994년 1월 12일[1] 박필근 생존자를 만났을 때, 필자는 예순일곱 살로 50여 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열여섯 살 당시 입은 피해가 여전히 상처로 남아있음을 강하게 느꼈다. ‘남사시러바[2]’라며 고개를 숙이고 울먹울먹 하는 모습에 차마 입이 떨어지지 않았다. 포항여성회가 2019년에 진행한 「박필근 할머니와 가족 구술생애사」(이하 「구술」로 표기)에서도 “그 말 모하니더(못한다)”, “넘사시럽니더” 하며 인터뷰가 중단되는 상황이 몇 차례나 반복되었다고 한다[3]. 이 글에서는 위안소로 동원되는 상황을 중심으로 소개하겠다. “죽장에 박필근 할머니, 고향이 월평리이고 ... 띠는 용띠고, 노망 안 했니더” 2019년 위와 같이 당신을 소개했던 박필근은 1928년생으로 2021년 현재 아흔네 살이다. 1994년 당시 조사에서는 경북 영일군이었는데 1995년 포항시로 통합되었다. 60여년 흙집에서 갖은 고생을 하며 살다 2019년부터 새로 지은 집에서 지내고 있다(경북도민일보 2019. 4.22). 많은 아픔과 역경을 겪었는데 남은 생은 건강하고 평안하게 사셨으면 좋겠다. “죽장면 월평리[4]에서 9남매의 여덟째로 막내딸이었다.” “아버지가 땅을 좀 가지고 농사를 지었지만 비료도 없고 해서, 만날 천날 요런 감자를 쌔가리 감자 요만큼 한 거 삶아가 저 콩이파리 저걸 우리가 뜯어 고마 채반을 넣고 쩌가...” “엄마 젊지, 머슴 둘이 있지. 내가 무슨 일 했노? 떡을 해도 나는 맨날 찰떡만 먹고, 얼매나 잘 살았는지 이 동네에서 젤 잘 샀았니더.” “농사 많이 짓지. 아들네 주고 학교 보낸다고”(「구술」) 어린 시절에는 잘 살았고 막내로 귀여움 많이 받았는데 감자와 콩이파리 먹던 이야기는 40년대 이후 공출[5]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오빠들과 남동생은 학교에 보냈고 특히 남동생은 육군사관학교까지 나왔다.(2019. 6.30 녹취문) “시집을 보내면 신랑이 있이먼 거기 안 뽑혀 가고” “어디 가가 피 빼고 우얀동 죽인다 캐네 다 치아불고요(결혼시키고)[6]. 뭐 열시 살 먹은 애, 열니 살 먹은 애, 열다섯 살 먹은 애 다 치아불고” “시집을 보내면 신랑이 있이먼 거기 안 뽑혀 가고” 하여 언니들 네 명은 다 결혼했다. “학교도 못 가고 아무것도 몬(못) 하고. 그저 엄마 졑에만(곁에만) 있고, 그때는 밭에도 안 나가 봤니더. 차도 한번 못 타 봤고요.” 일제강점기에 이렇게 끌려가지 않으려고 여성들이 일찍 결혼했다는 이야기는 흔히 들어보았을 것이다. 1938년 3월 경부터 조선 남부에서 여성들을 군에 봉사하게 할 목적으로 전쟁터로 동원한다는 ‘유언비어’가 발생하여 전역으로 급속도로 확산되었다.[7] 『매일신보』도 「조혼하지 말자! 여자는 징용치 않는다」(1944. 5.16)고 보도할 정도였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초대 공동대표였던 고 이효재 교수도 “나는 일제의 처녀공출 위협을 직접 겪었”다(『동아일보』1997. 2.12)고 했다. “집에 있다가 차가 와가 얹어가 가뿌랬지” “내 열여섯 살에 “무신(무슨) 영장 같은 게 이런 게 왔다 카** 종이쪼가리 이래가, 글을 알아야 보지? 열여섯 살이라도 내가 학교 앞에도 못 가봤는데 막냉이다 보니 열여섯 살에 뭘 아는겨? 이래가 뭐 안 가마(가면), 엄마 아부지를 끌고 간다 카대. 무슨 모집인지 처자(妻子) 모집한다 캤지. 일곱명인가 죽장면에서 (갔다) (지금) 다 죽어버렸다 카대. 떠날 때 치마저고리에 머리를 땋고 긴 머리로 (갔다).” “어매 아부지 밭에 갔다가 (혼자) 집에 있다가 차가 와가 얹어가 가뿌랬지(가버렸지) 뭐”.(「구술」) “일본사람이 와서 어디 가서 하룻밤을 재웠다. “일본말 하니 우리가 일본 사람인 줄 알았지 뭐” “기차를 어디가 탔는동 (모른다) 그거를 집인 줄 알고 드갔드만 그게 차가 가드라 칸 게. 방인 줄 알고 타고 보니 가더라.(배였음)” (같이 탄) 사람이 많았다. “내가 배로 타고 뱃멀미를 앓아가 뱃멀미...”(「구술」) 일본인 남자 서너명이 여자들을 데리고 갔는데 “그것도 한, 한 태에 다 안 가디더. 또 이래 가다가 또 어데 가고 또 저거는 또 몇 십명 또 빠치(배치) 노내고(놓고) 또, 또” 이런 막내를 보낸 부모들의 마음고생이 얼마나 심했을까? 박필근은 “우리 어매 매일 저녁 울고, 그 나 때문에 일찍 돌아간 기다”라고 한탄했다. 열여섯 살이었다고 하니 1943년경으로 추정된다. 94년 조사에서는 차에 타는 이야기는 나오지 않았다. 「구술」에는 일본 순사가 탄 트럭이 왔다고 하고, 6.16 녹취록에서는 아들이 들은 것에 의하면 “열여섯에 붙들려 가가....방직공장 취직해준다 하믄서 데리고 갔다 하대”. 박필근뿐 아니라 1942년 일본으로 간 김봉이(가명)의 경우도 일본 모집 공장이라고 쓰인 영장 통지서가 나왔다고 한다.[8] 그런데 여성들은 영장이 나오는 국민징용령[9]의 대상이 아니었다. 여성노무 동원을 위해 1944년 8월 23일 공포·시행된 여자정신근로령(『매일신보』 1944. 8.26, 8.28. 참조)에 의해서도 영서(令書)가 나올 수 있는데, 조선에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동원하지 않았다. 1944년 4월경부터 조선총독부의 이른바 ‘관의 알선지도’에 의해 2년 기한으로 항공기제작공장, 기계제작공장 등지로 동원되었다.[10] 모리야 요시히코(守屋敬彦) 전 교수의 의견을 참고하면 여기서의 영장은 법에 의한 것이 아니라 ‘위안부’ 동원에 관여한 행정기관에서 공장에 간다는 명목으로 임의로 만든 것으로 추측된다.[11] 조선에서는 경찰이 ‘군위안부’를 직접 징모하거나 인솔하기도 하는 등 적극적으로 가담하고 있었다. 경찰은 도항에 필요한 신분증명서를 발급하였고 징모에 협력하였다.[12] 당시에 관부연락선[13]을 타려면 경찰서에서 발급한 도항증명서가 있어야 했다. 그 지키고 있는 거 일본 말로 ‘게비(경비)’ 들이라 카대요. “일본인동 뭐 북해도인동 뭐 일본이지.” 담이 높은 공장으로 들어갔다. 기숙사가 있어서 몇 명이서 한방을 썼다. 처음에 베 짜는 공장을 보여줬다. 기숙사에 가두어 놓고 앉아있었다. “지키고 있는 거 많~엤지요. 그 지키고 있는 거 일본 말로 ‘게비(경비)’ 들이라 카대요.” 같이 있던 애들이 “(도망) 가면 마 죽인다 카더이다.” 거기서 파란 군복[14]을 줘서 입고 머리를 단발로 잘렸다. 이름표도 달렸다. “모자도 ‘센토보시(전투모)’ 일본놈들 쓰는 거 쓰고예”(「구술」) “저거가 일본말 하니 내 아는교, 내 조선말 하니 저거가 아는교?” 나중에 뭐 엄마는 ‘오까상’이고 아부지는 ‘오또상’이고 할머니** ‘오바상(할머니)’이고, ‘오지상(할아버지)’이고 이런 간단한 일본말을 일본 남자가 가르쳐줬다. 새벽에 종 흔들어가(흔들어서) 일본남자가 깨웠다. 그는 군복[15]을 입고 어깨에 뻘건 게 있었던 것 같다. 기숙사에 있던 식당에서 ‘하시(젓가락)’를 가지고 밥 한 숟가락 먹고 ‘덴고(점호)’를 하고 훈련을 시키주고. “체조 하고 뭐 이러니까네, 체조를 할 줄 알아야 하지요?” ‘유미유까바[우미유까바 바다로 가면] 야마유까바(산으로 가면)’[16] 군가를 불렀다. “훈련(하면서)도 맞고 얼렁 안 가면 얼렁 안 간다고 짝대기 집고 그냥 때리는 거”, ”못 하면 차고 때리고“ “며칠에 한번씩 군인동 일본 사람인동 우리를 끄집고 가가요, 희한한 짓도 다 하고요.” 컴컴하고 창고도 같고 학교도 같은 데 같은 방에 있던 8명의 여자들이 교대로 너이(4명)밤에 불려나갔다. 바닥에 뭐가 깔려있었다. 창고가 컴컴해서 “그 안에 일본놈인동, 군인동, 한국놈인동 모르죠”. 거기서 말을 안 들으면 방망이로 아무 데나 때렸다. 일이 끝나면 기숙사로 다시 데려다 줬다. 창고에 갔다 오면 “개구리같이 퍼져가 일어서지도 몬하고 말로 다 몬한다.” 한 일년쯤[17] 있다가 “그때 이래도 죽고 저래도 죽고요. 마 여기 있어도 죽으, 그래 난 죽는교. 우리 엄마나 한 번 더 보고 *자고 그래 나갔지요. 이래 변소 가니까 구녕 요만한~ 게 어여어여 가지고 고 구녕을 내가 가, 밤중에 깄지요(기었지요). 십리를 깄다 카먼 알지요. 같은 방에 있던 여자 서이 나왔니더[18]” “그캐 춥기는 춥고 물에 빠져가 경운기 불 때니깐 가니까네 누꼬하니 내 왔다 하니 나도 한국 있다 여 오니 거 가만 있으라 카이. 닷새 있었니더. 전단지 옷 다 갈아입히고 닷새 있다 부산서 열닷새 만에 여기”(「구술」). 「구술」에 의하면 탈출에 성공한 것이 두 번째였고 첫 번째 탈출시도는 실패하여 구타를 당해 다리에 ‘험태(상처)’가 생겼다고 한다. 집에 와서 곧 해방이 되었다고 한 것으로 보아 1945년 2월경 귀국한 것으로 추정된다. 박필근은 기차로 부산으로 이동한 후 관부연락선을 탄 것으로 추정되고 귀국할 때도 재일동포가 연락선을 태워줬다고 한다[19]. 동원된 장소가 일본 시모노세키(下關)[20]가 있는 야마구치현 부근이 아닐까 추정한다. 당시의 충격으로 창고에서의 세세한 상황을 잘 기억하지 못해 “누가 다녀갔는지 몰랐다”고 하여 노무자를 상대한 ‘기업위안부’[21]일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으나, 아들에게 “첨에 가면은 그 그 일본 군인들이 ‘나래비(줄서기)’를 선다 카드라”(「구술」) 하는 것으로 보아 군위안소로 판단했다. 박필근 생존자처럼 공장에서 일을 하지는 않았지만 낮에 ‘덴꼬(점호)’를 하고 군가를 부르며 체조 훈련을 한 점에서는 여자근로정신대와 비슷하고 밤에 창고 같은 건물로 이동해서 일본 군인들을 상대해야 했던 경우는 처음이다. 1942년경 일본 나가사키현으로 동원된 H의 경우도 처음에 6개월은 공장에서 일하다 나중에는 요일을 정해 부대 근처로 가서 군인들을 상대해야 했는데, 생활하는 데는 따로 있었다고 한다.[22] 여성들을 공장의 기숙사에서 생활하게 하고 교대로 위안소로 보낸 것으로 보인다. 대개 위안소에서 생활하면서 군인들을 상대해야 했던 것에 비하여 사는 곳과 위안소가 분리된 점도 다른 점이다. 일본의 경우 오키나와를 제외하고는 군위안소가 많지 않기에 일본 내의 군위안소에서 피해를 입은 이번 사례는 귀중하다. 1991년 김학순 피해자의 공개증언 이후 일본정부는 고노담화(1993. 8.4)[23] 등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사과했다. 그 후 2007년 아베 내각에서는 “위안부 ‘강제연행’을 했다는 문건[24]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실체를 부정하며 2015 한일 ‘합의’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일본군 위안소 제도의 국가범죄와 전쟁범죄가 없어지는 것이 아니다. 일본군 위안소는 군 시설이며 국가(군·정부)에 의해 성립되었다.[25] 고향으로 돌아왔어도 조그마한 동네라 수군수군 흉보는 마을사람들, “남캉같이(남들같이) 이 세상 못 살아보고” 아들, 딸과 살기 위해 부지런히 품을 팔아야 했던 박필근의 귀국 후 고난도 “그 말도 다 몬합니더”. 관련 자료를 보면 경상도 출신 여성들이 위안소에 많이 있었다는데 2021년 현재 경북에서 유일하게 살아있는 생존자는 박필근뿐이다. 포항여성회에서 정기적으로 방문할 때마다 쌀을 사달라고 요청하시면서 새 쌀은 쌓아두고 묵은 쌀을 드신다고 한다. 살아오면서 얼마나 힘드셨으면 저러실까 가슴이 먹먹해진다. 다시 한 번 아들과 딸 그리고 포항여성회의 보살핌을 받으며 건강하게 생활하시기를 기원한다. “일본놈 사과도 받고 싶고 배상도 받고 싶은” 박필근 생존자의 바람이 살아있는 동안 이루어지기를 간절히 바란다. 그리고 이러한 성폭력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역사를 기억하고 끊임없이 이야기하는 일은 이 글을 읽고 있는 우리들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각주 ^ 면담에는 박필근과 딸, 관련 공무원 3명, 안연선(한국정신대연구소)이 함께 했는데 진행하기가 아주 어려웠다. 필자가 포항말을 잘 알아듣지 못하여 추가 면담을 하지 못했다. ^ 남사스럽다: 남에게 놀림과 비웃음을 받을 듯하다. ^ 다만 아들에게는 수시로 일본은 독종이라는 등 욕도 하고 당시 동원과정, 탈출과정 등에 대해 하소연했다고 한다. 이 보고서와 녹취록 자료를 제공해주신 포항여성회(금박은주회장)에 감사드린다. ^ 1934년 4월 1일 죽남면과 죽북면을 죽장면으로 합했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 월평리는 갈뫼봉(438m) 서편 골짜기에 형성된 마을로서 청송군(靑松郡)과 경계를 이루는 꼭두방재(415m)에 이르기까지 밖골, 안골, 우마동, 살마골, 꼭두방과 같은 작은 자연부락이 산재(散在)하고 있다. 1914년 소월, 고평, 현내리 일부를 병합하여 월평리(月坪里)라 하였다.(포항시 죽장면 홈페이지 참조) ^ 일제는 1939년<미곡배급통제법>을 제정하여 미곡의 시장 유통을 금지하고 농민의 자가 소비분 대부분까지도 헐값으로 강제 공출시켰으며, 그 대신 만주 등지에서 들여오는 콩이나 피 등의 동물용 사료를 배급하였다. 그 뒤 미곡 공출실적이 저조하자 1943년<식량관리법>을 제정하여 맥류·면화·마류(麻類)·고사리 등에 이르기까지 40여 종에 대하여 공출제도를 확대하고, 강제 공출을 이행시키기 위하여 무력까지 사용하는 등, 전시군량 확보를 위하여 온갖 강압적 수단을 다 동원하였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 총생산량 중 공출량의 비율은 1942미곡년도에 45.2%, 43년에는 55.8%, 44년에는 63.9%로 증가하였다.(『한국사 – 근대 – 민족운동의 전개』 1942-1945의 총독정책 참조) ^ 윤수만(충남 보은 46)은 1943년 8월 23일 고목인송의 집에서 동인의 내연의 처 신재룡 외 1명에게, “최근 광업자는 여공으로 모집된 처녀를 돌려보내지 않는다. 때로는 피를 뽑고 귀택시키기 때문에 그 처녀는 귀택 후 얼마 안 되어 사망한다”는 말을 해서 1943년 11월 27일 벌금 100원 판결을 받았다.(공훈전자사료관) ^ 藤永壯, 「戰時期朝鮮における『慰安婦』動員の『流言』『造言』をめぐって」, 松田利彦ほか編, 『地域社會から見る帝國日本と植民地-朝鮮·臺灣·滿洲』, 思文閣出版, 2015 참조(1938년 3월말에 경상남도 밀양, 양산 지역에서는, 16~20세의 처녀 및 16~30세의 과부를 강제로 끌어모아 전쟁터로 보내고 “낮에는 밥짓기나 빨래 등의 노역을 시키고 야간에는 군인과의 성적관계를 시켰다”라고 말한 세 명이 육군 형법으로 4개월의 금고형을 선고받았다.)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역사를 만드는 이야기)』(2004), 여성과 인권, 270쪽 ^ 일본이 국가총동원법에 따라 노동력 동원을 목적으로 국가총동원법 제4조[징용] 규정에 따라 1939년 7월 8일 제정 공포해 실시한 인력통제법령[칙령 451호]이다. 「국민징용령」은 일본 정부가 「국민징용령」 및 국민직업능력신고령에 의거하여 등록한 자 중에서 선정하여 징용 영장을 발령·교부하여 송출하는 방식이다.(세계한민족문화대전) ^ 『‘조선여자근로정신대’방식에 의한 노무동원에 관한 조사』(2008),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138쪽. 관의 알선지도란 일본 정부와 조선총독부, 각 기업이 동원할 노동자 수를 서로 조정하고, 조선총독부 기구가 동원과정(모집, 전형, 송출)에 적극 개입하는 형태이다(22쪽). ^ 일제 강제동원을 연구해온 모리야 요시히코 전 교수에 의하면 “관알선 단계에서도 징용영장을 받았다는 사람들이 꽤 있는데, 그건 정식 영장이 아니라 지역 군이나 면에서 임의로 만든 것입니다. ‘영장 나왔으니까 너는 가야 한다’는 식으로 써먹은 것이죠”(김호경·권기석·우성규, 『일제 강제동원, 그 알려지지 않은 역사』(2010), 돌베개, 61쪽) 참조. ^ 윤명숙, 『조선인 군위안부와 일본군 위안소제도』(2015), 이학사, 536쪽. ^ ‘부관’(釜關)이라는 이름은 부산의 앞글자(釜, 부)와 시모노세키의 뒷글자(關, 관)를 딴 것이다. 일본에서는 종종 어순을 바꾼 관부연락선(關釜連絡船), 또는 관부항로(關釜航路)라고 부른다. 관부연락선은 1905년 9월 일본이 본격적으로 한국을 비롯한 중국의 동북지방·몽고 등지로 진출하기 위하여 만든 국책해운회사였던 산요기선주식회사(山陽氣船株式會社)에 의하여 처음 개설되었다. 그러나 이 연락선은 일본의 한국 침략의 한 수단이기도 하였다. 수많은 한국인들이 징용으로 끌려갔으며 일본인들의 수탈에 농토를 잃고 북해도 탄광으로 가기 위하여 관부연락선에 몸을 맡겨야 하였다. 최초로 취항한 연락선은 이키마루(壹岐丸, 1,680톤)라는 배로 11시간 반이 소요되었다. 그 뒤 3,000톤급의 쇼케이마루(昌慶丸)·도쿠주마루(德壽丸)·쇼토쿠마루(昌德丸) 등이 운항되었다. 1935년부터는 북중국·만주·몽고 등지로의 진출이 본격화되면서 여객과 화물의 격증에 대비하여 당시로서는 최신예인 7,000톤급의 대형 여객선 공고마루(金剛丸)·고안마루(興安丸) 등을 운항하였으며 시간도 7시간 반으로 단축하였다. 이들 연락선은 일본이 태평양전쟁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람들을 징발하고, 전선과 일본 본토를 운항하는 데 투입되었으나, 미군에 의하여 격침되고 말았다. 그리하여 1945년 3월부터 사실상 관부연락선은 두절되었으며, 그 뒤 광복이 된 뒤에도 한일 간의 국교가 정상화될 때까지 연락선이 오가지 못하였다.(부관연락선[釜關連絡船]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공장에서 입는 작업복으로 추정된다. ^ 국민복으로 추정된다. 이는 일제하 일본 군부의 강요로 입었던 국방색의 전투용으로 만들어진 복식. ^ 1939년에 나온 일본군가. 海行かば (바다로 가면) 海行かば水漬く屍 / 山行かば草むす屍 / 大君の邊にこそ死なめ / 顧みはせじ (바다에 가면 물에 잠긴 시체 / 산에 가면 풀이 돋은 시체 / 천황의 곁에서 죽어도 /돌아보는 일은 없으리) ^ 「구술」에서 박필근은 “몇 달 안 있었니더”라고 하고 아들은 일본어 욕을 잘 하는 것으로 보아 최소한 2~3년 머물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94년 딸의 증언에 의하면 딸이 결혼한 후 같이 도망나온 피해자 중 한 명을 만난 적이 있는데 곧 암으로 돌아가셨다고 한다. ^ 포항MBC 2020. 8.14 인터뷰 영상 ^ 일본 야마구치현[山口縣]에 있는 도시. 1943년 12월말 야마구치현에 132,526명의 한국인들이 살았다(재외동포사총서 10 『일본한인의 역사』(상)(2009), 국사편찬위원회 참조) ^ 기업의 생산성을 위해 동원·착취되었던 상황을 강조하여 ‘기업위안부’로 부르기로 한다. 정진성, 『일본군성노예제』(2004), 서울대학교 출판부, 341쪽. 기업위안소는 주로 일본 홋카이도와 규슈의 탄광에 설치되었다. 서울대 인권센터 정진성 연구팀, 『끌려가다, 버려지다, 우리 앞에 서다 2』(2018), 푸른역사 참조 ^ H의 구술. 『들리나요? 열두소녀의 이야기』(2013), 대일항쟁조사위원회, 236~273쪽 참조 ^ https://www.awf.or.jp/k6/statement-02.html “위안소는 당시 군당국의 요청에 의해 설치•운영되었으며 위안소의 설치, 관리 및 위안부의 이송에 대해서는 구 일본군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여하였다. 위안부 모집에 대해서는 군의 요청을 받은 업자가 주로 이를 담당하였으나 그 경우도 감언이나 강압적인 방법 등으로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모집된 사례가 많았으며 또한 관헌 등이 직접 이에 가담한 경우도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조선의 경우 1941년 ‘관동군특별대연습’을 계기로 관동군이 2만명의 위안부를 모집해 주도록 조선총독부에 요청했다는 데서 잘 나타난다. 그 모집에는 부도군읍면의 행정계통과 경찰의 적극적·조직적 개입이 없이는 도저히 불가능하다.(실제로 모집된 것은 3천명 정도였다고 한다.) 하종문, 「위안소와 일본군·일본군의 가해체계」,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책임을 묻는다』(2001), 풀빛, 93쪽. 그런데 패전 후 조선총독부가 문서를 대대적으로 소각했고, 국가기록원에 소장된 조선총독부 자료에 노무, 외사, 경무 관련해서 1944과 1945년 자료가 하나도 없는 실정이 이를 증명한다. ^ 2005년 나가이 카즈는 <야전주보규정개정>(1937.9.29.) 사료를 통해 위안소 자체가 ‘군대에 속해 있는 군시설’이라는 점을 들어, 일본군관헌의 개입은 당연한 사실이므로, 강제연행에 군관헌의 직간접 개입의 유무 논란은 무의미하다고 주장했다. 永井和, 「陸軍慰安所の創設と慰安婦募集に關る一考察」,『二十世紀硏究』1(2000).
-
- 2021년 에세이 [여행에세이] “기억의 길”을 걷다 – 일본군‘위안부’ 기억의 터와 기림비
-
코로나 팬데믹으로 ‘여행’의 가능성이 차단된 시대, <결>은 이에 대한 갈증을 글로나마 풀며 여행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여행에세이 [2021, 평화로드]는 일제 침탈과 일본군‘위안부’관련 흔적이 남아있는 지역을 살펴보고 그 안에 담겨있는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고자 하는 시도입니다. 서울, 통영, 천안, 대구, 제주 등 ‘위안부’ 역사와 관련된 다섯 지역을 따라가며, 꼭 기억해야 하지만 쉬이 알지 못했던 이야기들을 만나보는 것은 어떨까요. [여행에세이] 2021 평화로드 1. 서울편 - “기억의 길”을 걷다 – 일본군‘위안부’ 기억의 터와 기림비 2. 통영편 - 아름다운 항구, 통영에 자리한 아픈 역사의 길을 걷다 3. 천안편 - 하늘아래 가장 편안한 곳에 잠든 당신들의 안식을 기원하며 4. 대구편 - 희움일본군‘위안부’역사관으로 떠나는 근대문화거리 투어 5. 제주편 - 총구는 늘 약자를 향한다–전쟁과 일본군‘위안부’, 그리고 제주도 추천코스 남산예장공원[이회영 기념관, 기억6전시관] → 남산인권숲 → 일본군 ‘위안부’ 기억의 터[대지의 눈, 세상의 배꼽, 통감관저 터 표석, 거꾸로 세운 동상] → 국치길[통감관저 터 → 조선총독부 터 → 노기신사 터 → 경성신사터·일제갑오역기념비 → 한양공원 기념 비석 → ‘삼순이 계단’] → 서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비 #기억의 터 남산 자락 ‘일본군‘위안부’ 기억의 터’로 가는 길목에는 ‘남산예장공원’이 있다. 공원은 세종호텔 건너편으로 남산 1호 터널과 남산으로 올라가는 도로 사이, 서울소방재난본부 아래쪽에 있는데 오랜 공사 끝에 2021년 6월 개장했다. 공원은 두 개 층으로 나뉜다. 들머리를 따라 친환경 버스 환승센터를 지나면 공원 아래층엔 ‘예장마당’과 ‘이회영 기념관’이 있다. 전 재산을 들여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해 평생 조국 독립에 헌신한 독립운동가 이회영 선생과 여섯 형제를 기념하는 공간이다. 공원의 윗부분은 푸른 소나무 숲, 명동~남산을 보행으로 연결하는 진입광장, 샛자락 쉼터 등을 두어 시민들의 휴식처로 꾸며졌다. 하지만 여기서 더 눈에 띄는 것은 빨간색 우체통 모양의 ‘기억6전시관’이다. 전시관은 국가권력에 의한 인권침해라는 아픈 역사를 돌아보는 공간으로 옛 중앙정보부의 지하 고문실을 재현해 두었다. 기억6전시관 앞에는 재생사업 과정에서 발굴된 조선 총독부 관사의 기초 일부분을 그대로 보존한 유구터를 비롯해 철거 당시의 콘크리트 잔해와 부서진 기둥을 활용한 벤치 등이 놓여 있다. 예장공원의 ‘남산위에 저 소나무 오솔길’을 지나면 서울소방재난본부에서 서울유스호스텔까지 이어지는 ‘남산인권숲’으로 들어선다. 이 일대가 1960년대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중앙정보부(안전기획부) 자리였기 때문에 붙은 이름일 것이다. 그리고 일본군‘위안부’ 기억의 터도 여기에 있다. 바닥에 그려진 노란 나비가 기억의 터에 다 왔음을 알려준다. 기억의 터 오른쪽에는 키오스크가 설치되어 있다. 기억의 터 소개와 조성 과정, 작품 해설, 함께 만든 이들에 대한 설명이 자세하게 되어 있고 영어, 일본어, 중국어로도 볼 수 있다. 특히 “올해 나이 92세 이름은 김.복.동, 피해자입니다”로 시작되는 ‘위안부’피해자 김복동 님의 인터뷰는 이곳을 찾은 사람의 마음을 다잡게 한다. 기억의 터는 서로 전혀 어울리지도 않고 받아들일 수도 없는 두 가지 주제가 함께 하는 곳이다. 식민지 침탈의 중심이었던 ‘통감관저 터(총독관저 터)’와 그 피해를 가장 심하게 당한 ‘위안부’를 위한 장소가 함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는 ‘대지의 눈’과 ‘세상의 배꼽’ 사이에 ‘통감관저 터 표석’과 ‘거꾸로 세운 동상’이 있다. 그래서 이곳을 만든 임옥상 작가는 “포위하되 포용하고 꾸짖되 용서하는 모성으로 세상을 보듬는” 의미의 작품을 구상했다고 한다. 기억의 터는 직선의 통감관저 터 표석과 거꾸로 세운 동상을 부드러운 곡선의 대지와 조형물로 감싸고 있다. 대지의 눈은 등 뒤에 야트막한 둔덕을 얹은 반달 모양 벽으로 둘려 있다. 이 벽은 ‘통곡의 벽이자 화해와 치유의 벽’이다. 벽의 맨 위에는 “우리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우리의 이 아픈 역사가 잊혀지는 것입니다”라고 적혀 있다. 그다음 “이렇게 끌려갔다”, “너무 험한 악몽이다”, “해방 후 귀국·귀향”, “반세기의 침묵을 깨다”, “수요시위”, “소녀상”, “나비기금”, “인권평화운동” 순서로 피해자들과 관계자들의 증언이 새겨져 있다. 한 줄 한 줄 나지막이 소리 내어 읽어 내려간다. 눈으로 볼 때와 달리 소리를 내었을 때 점차 피해자들의 절절한 아픔과 절망과 눈물이 배어든다. 무엇보다 읽는 이의 가슴을 아리게 하는 것은 첫 증언자 김학순 님의 “차라리 속이 후련하다. 하나님이 지금까지 나를 살려준 것은 이 문제를 위해 싸우라는 뜻이라 생각한다”라는 증언이다. 이용수 님은 “나는 여기 저와 함께 있는 이 여성들 때문에 이렇게 과거의 아픔을 이기고 여러분 앞에 당당히 설 수 있었습니다”라고, 길원옥 님은 “우리 아이들은 평화로운 세상에서 살아야 해요…… 다시는 이런 전쟁을 하지 말라고 요구했습니다”라고 하셨다. 원망과 아픔에 온몸과 마음이 찔려 아물기 힘들 상처를 끌어안고서 증언하고, 당당하게 싸우고, 다른 이들을 위해 평화를 요구한다. 적당히 세상과 불의에 타협하고 사는 사람으로서 감히 엄두도 못 낼 용기에 먹먹해진다. ‘위안부’피해자들은 다만 ‘잊혀지는 것이 두렵다’고 했지만, 그들이 말한 것은 ‘잊지 말고’ ‘정의와 평화와 인권을 위해 함께 힘을 내야’ 한다는 다그침이리라. 이런 사연들 왼쪽에는 기억의 터를 조성하는 의미로 피해자 247명의 이름을 적어놓았다. 오른쪽에는 피해자 김순덕 님의 ‘끌려감’이란 그림이 있다. 무궁화 가득 핀 한반도에 서 있는 한 여성의 팔목을 바다 건너 끌어당기는 손. 동그랗게 뜬 여성의 눈에서 당황스러움과 무서워 온몸이 얼어붙는 공포가 그대로 전해진다. 벽을 마주하고 서서 내용을 읽다가 문득 발밑을 보면 까맣고 둥근 동그라미 위에 내가 서 있고, 이 동그라미에 내 모습이 비치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역사를 돌아보고 미래를 지켜보는 대지의 눈이다. 대지의 눈에서 돌길을 따라 세상의 배꼽으로 간다. 세상의 배꼽은 부드러운 언덕으로 둥글게 감싸져 있다. 언덕에는 여름에 빨갛게 꽃피는 백일홍나무와 아직은 감이 두세 개만 열리는 어린 감나무가 자라고 있다. ‘배꼽’ 안으로 통하는 작은 길은 양쪽으로 나 있다. 안으로 들어서면 가운데에 보름달같이 둥글고 큰 돌이 있고, 그 주변에 80여 개의 크고 작은 돌들이 흩어져 있다. 둥근 돌에 앉으면 언덕 때문에 밖이 보이지 않아 포근하고 호젓한 기분으로 숲과 하늘을 바라볼 수 있다. 둥글고 큰 돌은 배꼽을 뜻한다. 어머니와 아기의 생명을 잇는 배꼽처럼 피해자들과 지금 여기 살고 있는 우리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돌에는 “기억하지 않는 역사는 되풀이된다”라는 글귀가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로 적혀 있다. 마주 잡은 두 손을 그린 윤석남 작가의 작품도 새겨져 있다. “기억하지 않으면 되풀이될 것”이고, 기억하기 위해서는 혼자가 아니라 “서로 손을 맞잡고” 나서야 한다는 것을 말하는 듯하다. 둥근 돌에 앉아 몸에 힘주어 돌을 흔들어본다. 생각지도 못했는데 돌이 흔들흔들 묵직하게 흔들린다. 돌의 흔들림과 그 위에 앉은 우리의 흔들림이 함께 물결처럼 언덕을 넘어 저 바깥 멀리까지 퍼져나간다. 일본군‘위안부’피해자에 대한 기억과 공감의 물결이다. 배꼽 돌 옆에 여기저기 놓인 돌들은 전국 곳곳에서 가져온 돌로, 고향을 떠나온 피해자분들의 마음이라고 한다. 돌들을 가로지르는 길 끝에는 기억의 터를 만드는 과정에 함께해준 분들의 이름을 새긴 명패가 있다. 기억의 터는 일본 제국주의 침략과 우리 민족의 치욕스러운 역사를 함께 품고 있다. 식민지 민중의 가슴 아픈 고난을 상징하는 일본군‘위안부’피해자를 기억한다는 것은 식민지 역사의 극복이고 미래를 향한 다짐이 될 것이다. 다시 세상의 배꼽을 되돌아 나오면 대지의 눈 사이에 두 가지 조형물이 있다. 서울 유스호스텔과 남산으로 올라가는 계단 앞에는 통감관저 터 표석이 놓여 있다. 기억의 터는 2017년 8월 29일에, 이 표석은 2010년 8월 29일에 세워진 것이다. 기억의 터가 있기 이전에 이곳은 통감관저 터였다. 대한제국 시기 1905년 11월 을사늑약으로 통감부가 설치됐는데, 지금의 서울애니메이션센터 자리다. 그리고 일본공사관이었던 이곳은 통감관저로, 1910년부터 1939년까지는 총독관저로 사용됐고 이후에는 시정기념관으로 이용됐다. 1960년대 남산 자락에 중앙정보부가 들어서고 1996년 이후에야 남산이 시민들에게 다시 공개됐을 때엔, 통감관저가 언제 어떻게 없어졌는지 알 수 없게 됐다. 기록들과 당시 사진에서의 400년 넘은 느티나무와 은행나무 그리고 하야시 곤스케(林権助)의 동상 좌대 판석이 발견되면서 이곳이 통감관저였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2010년 국치 100주년을 기념해 통감관저 터라는 표석을 세우게 됐다. 1910년 8월 22일 이완용과 데라우치 통감은 이 통감관저에서 한일강제병합 조약을 체결했다. 8월 29일 순종과 일왕의 조서가 정식으로 공포되면서 조선과 대한제국의 역사는 끝을 맺게 됐다. 바로 ‘경술국치’이다. 절대 잊어서는 안 될 역사의 현장이기에 여기에 표석을 세웠다. 울퉁불퉁한 대리석으로 된 거꾸로 세운 동상은 표석을 마주하고 있다. 이것은 하야시 곤스케라는 일본 외교관 동상을 받치는 받침석이었다. 하야시 곤스케는 러일전쟁 당시 일본 공사(公使)였다. 그는 일제의 러일전쟁 승리를 위해서 대한제국을 압박해 한일의정서, 한일협약, 을사조약을 맺게 한 장본인이다. 일본 입장에서는 뛰어난 업적을 발휘한 외교관이었기에 남작 작위를 주고 1934년에는 아직 살아 있음에도 동상을 만들어 이곳(당시는 총독관저)에 세워주었다. 사진을 보면 거의 실물 크기 동상으로 좌대 판석까지 합치면 4m 이상은 될 것 같다. 이 동상도 해방 이후 어떻게 파괴됐는지 알 수 없지만 2006년 이곳에서 발견된 좌대 판석 3개를 활용하여 2015년 광복 70주년을 기념해 여기에 다시 세웠다. 하지만 곱게 세우지는 않았다. 거꾸로 그리고 뒤집어서 치욕스럽게 세웠다. 원래는 울퉁불퉁한 면이 안으로 들어가야 한다. 동상 뒤쪽으로 돌아가면 “男爵林林権助君像(남작하야시곤스케군상)”이란 글씨가 거꾸로 되어 있다. 이를 자세히 읽기 위해 허리를 꺾을 필요는 없다. 발아래 반짝이는 까만 돌에 글씨가 비쳐 제대로 읽을 수 있다. #국치길 서울시는 2018년 통감관저 터를 시작으로 하는 ‘국치길’을 조성했다. 국치길은 우리가 걷고자 하는 ‘기억의 길’이기도 하다. 국치길은 통감관저 터에서 시작해 남산으로 올라가는 도로를 따라간다. 첫 번째 만나는 곳이 ‘조선총독부 터’(지금의 서울애니메이션센터)이다. 버스 정류장 옆에 김익상 의사의 ‘조선총독부투탄의거(1921년)’를 기념하는 안내판도 함께 있었으나 서울애니메이션센터 재건축이 진행되면서 잠시 치워졌다. 조선총독부 터에서 다시 ‘소파로 길’을 따라 약 400m 남짓 올라가면 리라아트고등학교가 있고, 학교 안 남산원에는 ‘노기신사 터’가 있다. 노기신사는 일본인들이 러일전쟁의 영웅으로 여기는 노기 마레스케(乃木希典)를 신으로 삼아 1934년 세워졌다. 리라아트고등학교 옆 숭의여자대학교는 ‘경성신사 터’였다. 경성신사는 조선신궁이 세워지기 전까지 총독부가 제의를 관장했던 최고의 신사였다. 또 한편에는 일제의 청일전쟁 당시 일본군 전사자를 추모하는 ‘일제갑오역기념비’도 있다. 숭의여자대학교를 나와 남산케이블카를 100여m 지나면 남산 일대에 살던 일본인들을 위해 만든 ‘한양공원’의 기념 비석이 있다. 이제 길의 거의 끝에 왔다. 이른바 ‘삼순이 계단’이라는 계단이 남산을 향해 쭉 뻗어 있다. 친구들과 가위 바위 보하며 오르기도 했고 로맨스 드라마 주인공들이 아름다운 입맞춤을 했던 이 계단은 누가 언제 왜 만들었을까? 남산은 산 위에서 한양 시내가 모두 들여다보이기 때문에 조선 시대 내내 백성들은 함부로 오를 수 없는 산이었다. 또 국가 제사 시설인 국사당이 있던 신성한 산이었다. 그러나 일제는 국사당을 인왕산 아래로 쫓아버리고 한양 성곽도 무너뜨리면서 1925년 조선신궁을 지어 일본 태양신 아마테라스 오미카미(天照大神)와 메이지왕(메이지천황)의 신위를 안치했다. 조선신궁은 우리 민족에 대한 정신적, 종교적 수탈의 장소였다. 삼순이 계단은 바로 조선신궁으로 참배하러 가는 계단이었다. #기림비 계단을 다 오르면 가쁜 숨을 몰아쉬며 뒤로 돌아 서울을 한 번 내려다보면서 시원한 바람을 맞는다. 그러고 나서야 몸을 돌려 남산공원을 둘러본다. 계단 끝 느티나무 한쪽에는 서울시교육청 교육정보연구원, 한쪽에는 ‘서울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비’가 있다. 남산으로 올라가는 길목에서 몇십 년 전 기억으로 식물원과 분수대를 찾는 분들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제 그 자리에는 ‘조선신궁 배전 터’와 ‘분수대 터’, ‘한양도성유적전시관’이 복원되어 있고, 공원 끝에는 남산도서관과 안중근의사기념관이 있다. 일본군‘위안부’ 피해를 입은 한국, 중국, 필리핀 등 미국 내 13개국 커뮤니티가 연합해 일본의 압박과 방해를 이겨내고, 2017년 샌프란시스코 세인트 메리 광장에 ‘위안부’ 기림비를 세웠다. 그리고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여 김진덕·정경식재단 등 샌프란시스코 교민들이 자발적으로 뜻을 모아 샌프란시스코 기림비와 같은 모양으로 서울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비를 서울시에 기증했고, 그것을 2019년 8월 1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에 여기에 세웠다. 왜 남산에 세웠을까?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의기억연대는 시민들이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를 좀 더 가까이 접하고 기억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 그래서 시민들이 많이 찾는 일상적 공간이자 일제 침탈의 아픔을 간직한 역사적 장소인 이곳에 평화와 인권의 상징물인 기림비를 설치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샌프란시스코 기림비는 높은 단 위에 서 있는 세 여성을 김학순 님이 올려다보는 모습이다. 반면, 서울의 기림비는 김학순 님과 세 여성 모두 평지에 나란히 서 있고 세 여성 사이에 한 사람이 더 들어가 함께 손잡을 수 있도록 자리가 비워져 있다. 누구든지, 몇 사람이든지 손을 이어 잡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기림비 옆에 있는 다섯 개의 앉음돌은 김학순 님이 태어난 중국 지린성, 돌아와 살았던 평양, ‘위안부’ 피해를 당했던 베이징, 도망친 후 살았던 상하이, 해방 후 돌아온 서울, 이렇게 다섯 장소와 거쳐 온 시간을 의미한다. 기림비는 김학순 님이 서로 손을 굳게 맞잡고 서 있는 한국·중국·필리핀의 세 여성을 바라보고 있는 모습이다. 김학순 님은 자갈밭에, 여성들은 맨발로 거친 흙 위에 서 있지만, 굳은 의지로 가득 찬 눈동자와 꽉 다문 입, 당당하게 편 가슴, 서로 깍지 낀 손은 아주 단단해 보인다. “여성 강인함의 기둥”이라는 샌프란시스코 기림비의 제목이나 “정의를 위한 연대”라는 서울 기림비의 제목은 기림비가 지닌 의미를 그대로 전해준다. 전쟁 중 벌어지는 여성에 대한 인권침해와 성폭력, 인신매매는 과거의 사건으로 끝나지 않고 현재도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으며, 이를 멈추게 하기 위한 여성들의 투쟁과 연대는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기억의 터에서 시작한 기억의 길은 여기서 마무리된다. 나라를 잃고 일제의 침략 현장이었던 국치길과 함께하는 기억의 길은 왜, 무엇을, 어떻게 기억해야 하는가를 되새기는 길이며, 기억이 왜곡되지 않고 정의와 인권과 평화를 향한 길을 잃지 않도록 되새기는 길이다.
-
- 2021년 에세이 소중한 우리 할머니, 박필근 - ‘시간과 기억을 잇다’
-
웹진 <결>은 2021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맞아 ‘박필근’을 기억하고자 합니다. 경북지역의 유일한 ‘위안부’ 피해 생존자로 알려지는 그는, 일본군에 의해 16세 당시 강제로 끌려가 공장에서 위안소로 옮겨져 2차례의 탈출 시도 끝에 겨우 고향에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현재는 포항의 작은 집에서 포항여성회를 비롯한 지역의 많은 이웃들과 함께 더불어 ‘박필근 할머니’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지난 해에는 지역 창작자들이 함께 모여 창작 판소리 <박필근뎐>을 만들어 그의 삶을 알리기도 했었죠. 이렇게 역사는 계속해서 쓰여지고 있습니다. ‘피해자’에서 ‘생존자’를 넘어 단단하게 삶을 이어가고 있는 박필근과 또다른 많은 박필근들. 그 모든 소중한 이름을 우리가 계속해서 불러야 하는 이유입니다. [2021 기림의 날 특집] 박필근을 만나다 1. [논평] 박필근을 기억하다 2. [포토스토리] 사진으로 만나는 박필근 3. [에세이] 소중한 우리 할머니, 박필근 - ‘시간과 기억을 잇다’ 4. 우리 모두가 ‘박필근’이다-창작판소리 ‘박필근뎐’과 솔직히 말해서 판소리 ‘나비가 그랬어’ 창작노트 전화벨이 울린다. 회의 중이라 통화가 어렵다. 길게 울리던 전화벨이 잠시 조용해진다. 그리고 다시 울리기를 반복한다. 조용히 밖으로 나가서 전화를 받는다. “회장댁인교? 심심어가 전화 했니더. 마카 잘 있능교?” 전화기 너머로 들리는 박필근 할머니의 목소리. “할맹교? 밥은 잡샀능교? 예에 우리는 잘 있니더! 할매는 어디 아픈 데 없능교?” 할머니와 나만의 비밀병기, 경상도 사람들도 잘 알아듣지 못하는 말로 할머니와 한참 통화를 하다 보면 정겨운 사투리가 전화기 너머 자유롭게 유영한다. 올해 연세가 94세이신 우리 할머니. 박필근 할머니. 한 달에 한 번 찾아뵙는 것이 전부지만, 그마저도 바쁘면 몇 달 만에 찾아뵙기도 하지만, 할머니는 그렇게 늘 회장댁 회장댁 하면서 기다리신다. 할머니와의 인연은 여성회 회장을 맡게 된 2018년부터 시작됐다. 두 달에 한 번씩 할머니를 찾아뵙다가, 할머니 연세도 있으시니 활동가들이 돌아가면서 한 달에 한 번씩 찾아뵙고 생필품을 사다 드리며 안부 인사를 드리고 있다. 할머니 댁을 찾을 때 준비하는 생필품 중엔 꼭 들어가야 할 몇 가지가 있다. 만약 이를 빼먹거나 잘못 사 가는 날엔 할머니의 서운함이 가득한 잔소리를 들을 각오를 해야 한다. 밤에 잘 못 주무시고 눈물이 자꾸 나 슬플 때마다 드시는 우황청심환과 붙이는 파스 작은 것은 꼭 사야 한다. 큰 것으로 잘못 사 갔다가 어찌나 서운해 하시던지. 그 다음부터는 붙이는 파스 작은 것, 요구르트와 율무차, 홍삼 사탕과 라면, 국수, 소고기 국거리 등을 꼭 챙긴다. 그중에서도 절대 빠지면 안 되는 것이 바로 쌀과 찹쌀이다. 쌀은 20kg, 찹쌀은 10kg을 한 달에 한 번씩 꼭 사다 드린다. 혼자 사시고 많이 드시지도 않는데 쌀이나 찹쌀을 저만큼 드시나? 싶겠지만 그건 절대 타협이 불가능한 물품이다. 어느 날 아드님으로부터 “어무이가 하도 배를 곯아가 흰쌀에 원한이 졌는기라요. 그래가 저래 쌀을 받아 놓골랑은 새 쌀 안 드시고 묵은쌀을 또 안 드시능교?”라는 말씀을 듣고 박필근 할머니에게 쌀은 쌀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할머니 댁에 갈 땐 쌀을 빼면 안 된다고 신신당부를 하기도 한다. 그리고 할머니에게 이 쌀은 또 다른 의미로 해석되고 있었다. “요새도요, 흰쌀밥만 보믄, 우리 아~들이(자식들이) ‘어매요, 우리는 은제 흰쌀밥 한번 먹어 보능교?’라는 말이 귀에 생생하니더”라며 그 말씀을 하실 때마다 눈물을 훔치시곤 한다. 결혼 후에 남편 죽고, 어린 딸 다섯을 다 잃고 할머니 말에 따르면 겨우 둘이 붙들었다는 아들, 딸과 지독하게도 가난하게 사신 할머니. 배급받은 밀가루는 한 되 딱 맞춰 야속하게 주었다고 한다. 그것으로 죽을 쒀 건더기 있는 밀가루 죽은 아들, 딸에게 나눠주고 할머니는 그마저도 여의치 않아 빈 그릇에 조금 남아있는 밀가루 죽에 맹물 넣어 그걸로 배를 채웠다고 하셨다. 어느 날 할머니께서 지나가는 말로 “아이고 그때부터 배급받았는데, 아직도 배급 받니더”라며 평상을 훔치며 무심히 하셨던 그 말씀이 가끔 그림처럼 떠오르곤 한다. 그때 할머니의 표정, 할머니의 한숨, 할머니의 기분 같은 게 그대로 전이되는 것 같아 할머니의 가난이 얼마나 지독했는지 그 말이 메아리가 되어 가슴에 닿았던 것 같다. 처음에 할머니 구술생애사와 판소리 ‘박필근뎐’을 준비하기로 했던 이유는 할머니에게 그렇게 많은 시간이 남지 않았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할머니가 돌아가시면 존재했던 할머니의 역사가 영원히 사라질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에서 시작했다. 물론 많은 시간이 주어진 것이 아니었고, 이야기를 구술하는 과정에서 할머니에게 ‘위안부’로 고통스러웠던 순간을 다시 기억하게 하는 것이 도리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어 할머니도 연구자인 나도 힘들었다. 구술생애사를 시작한 후 할머니에게서 위안소에서 있었던 이야기를 듣기 쉽지 않았다. 결정적인 순간에 입을 다물어 버리셨기 때문이다. “모르니더. 기억 안 나니더”라고 말씀을 하시면 그날은 더 이상 이야기를 듣는 것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한참을 서먹서먹하게 있다가 다시 1시간 넘는 길을 돌아와야만 했다. 그 당시 진행이 제대로 되지 않았을 때 도움을 주셨던 분이 바로 아드님이시다. 대구에 거주하시지만, 일요일마다 할머니 댁에 내려와 어머니의 필요를 살피는 효자시다. 처음 아드님을 만났을 때 도와드리겠다고 흔쾌히 허락하시면서 “‘위안부’로 끌려간 게 엄마 잘못이 아닌데 일본에서도 저렇게 망언을 하고 있고, 이제는 뭔가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하시면서 당신에게도 쉽지 않은 이야기를 풀어주셨다. 아드님께 들었던 이야기를 가지고 할머니에게 질문하면 그나마 할머니께서 짧게나마 이야기를 전해주셔서 어렵게나마 구술생애사를 마무리할 수 있었다. 다시 한 번 할머니의 아드님이신 남명식 님께 감사를 드리고 싶다. 할머니는 지금도 고향 마을인 포항시 죽장면에 혼자 살고 계신다. 죽장면은 포항 시내에서도 1시간 이상 떨어진 산골 마을이지만 자연환경이 잘 보존된 곳이기도 하다. 할머니는 산 좋고 물 좋은 포항시 죽장면 월평리의 유복한 가정에서 9남매 중에 여덟째로 태어났다. 귀한 막내딸이었다고 한다. 할머니는 부유한 집에서 살았으며 할머니의 말씀에 따르면 “나는 찰떡만 묵았니더” “집에 머슴도 둘이나 있었니더”라는 말씀을 자주 하셨다. 그 당시에 찰떡을 먹고 머슴이 두 명이나 있었다는 게 유복함의 상징으로 충분한 것 같다. 지금도 죽장까지 가는 대중교통이 많지 않은데 80~90년 전 상황은 더 열악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산골 오지 마을에서 16살 때까지 차를 한 번도 타보지 못했던 박필근 할머니. 어느 날 부모님이 조 밭을 매러 간 사이 둑담(돌담의 방언) 밑에 앉아 있는데 일본 순사가 탄 트럭이 와서 할머니를 일본 방직공장에 취직시켜주겠다며 태워 갔다고 한다. 영문도 모른 채 말이다. 그리고 트럭은 경주 안강까지 갔고, 할머니는 거기서 기차를 타고 부산을 갔던 것으로 기억하고 계셨다. 부산에서 다시 일본 가는 배를 타고 할머니는 위안소에 강제로 끌려간 것이다. 유복한 가정에서 남부러울 것 없었던 집에서 할머니는 하루아침에 위안소라는 공간으로 끌려가 운명이 뒤바뀌었다. 지금도 이 억울한 상황을 누구도 책임지지 않고, 오히려 ‘위안부’피해자를 향한 망언이 계속되고 있다. 그런데 더 가슴 아픈 것은 ‘위안부’피해자에 대한 일본 정부와 국내 일부 학자들의 망언과 왜곡을 할머니가 뉴스를 통해 보고 계신다는 점이다. 어느 날 무심히 지나가는 이야기처럼 “안 그래도 뉴스에서 그라데요. ‘위안부’가 자기가 원해가 갔다꼬? 아이고 말도 안 되는 소리 하지 말라 그라소”라고 말씀하셨을 때 몸 둘 바를 모를 지경이었다. 제발 할머니 살아 계실 때 일본 정부가 잘못을 인정하고, ‘위안부’피해자에게 사과하는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나길 바랄 뿐이다. 제발 말이다. 또 한 가지, 할머니가 뉴스를 보고 계시니 지금부터는 ‘위안부’에 대한 망언과 왜곡을 하지 말기 바란다. 이것은 할머니를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경고다. 제발 말이다. 할머니는 강제로 ‘위안부’로 끌려갔지만, 그 지옥 같은 ‘위안소’를 당신의 힘으로 탈출한 용감한 분이시다. “여기서 죽으나, 나가 죽으나 매한가지”라며 고향 땅에서 당신을 기다리실 어매를 만나기 위해 죽을 각오로 탈출을 시도했고, 첫 번째 탈출에선 일본 군인에게 잡혀 죽기 직전까지 맞았다고 한다. 그 상처는 아직도 할머니 다리에 그대로 움푹 패 남아있다. 한 번씩 할머니는 “아이고 다리야, 아이고 다리야”라며 깊은 상처가 남은 다리를 내 앞에 두시고, 나는 뼈밖에 없는 앙상한 다리를 아무 소리 없이 주물러 드린다. “할매요. 다리가 마이 아픈교?” 죽을 각오로 탈출한 위안소, 그리고 두 번째 탈출에서 기적처럼 만난 일본에 온 한국인 부부 은인들. 할머니는 그분들 덕분에 부산까지 오실 수 있었다. 배표뿐만 아니라 새 옷에 새 신발까지 사주며 탈출시켜주신 그 부부에게 할머니가 가진 고마움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당신 연세가 아흔이 넘으셨으니 “그분들은 이미 다 돌아가셨을 텐데, 살아생전 그 은혜를 못 갚았다”며 많이 아쉬워하신다. 할머니를 다시 살게 하신 고마우신 분들, 참 고맙습니다. 기적처럼 다시 밟은 한국, 그리고 부산에서 보름을 걸어 도착한 고향 마을. 당신을 기다렸던 어머니는 병이 들어 얼마 지나지 않아 돌아가셨다며, 어머니의 죽음이 모두 다 당신 탓이라며 한탄하시는 모습이 참 슬프기도 하다. 아흔이 넘은 할머니에게도 어머니는 늘 그리운 분이시구나 싶었다. “우리 어매, 우리 어매”를 부르는 할머니 모습에선 열여섯 소녀 필근이 지금도 어머니를 그리워하고 있다. 할머니는 19살에 결혼을 하셨지만 결혼 후에 남편도 일찍 돌아가시고 자식 다섯도 여섯 살이 되기 전에 잃고 겨우 셋째 딸과 일곱째인 막내아들이 살았는데 참 찢어지게도 가난했다고 한다. 봄에는 산에서 나물 캐고 여름, 가을에는 남의 집 농사일을 했는데, 배고픈 막내아들을 열 살 딸이 업고 와 젖 먹이고 다시 돌려보내기를 반복했다고 한다. 겨울에는 땔감에 쓸 나무를 하러 산에 가셨다고 하는데, 할머니 표현대로라면 “내가 안 간 산이 없고, 안 다닌 곳이 없니더. 안 해본 일이 없니더. 장에 한번 못 가보고 그래 그래 살았니더”라며 지독한 가난은 할머니의 한숨이 되어 메아리치곤 한다. 가난하게 살았지만 남의 손 빌리지 않고 그렇게 사셨던 우리 할머니. 지금도 할머니 댁에 가보면 모든 것이 알뜰하고 정갈하게 정돈돼 있다. 마당 한편에 근사한 정원도 마련돼 있고, 도랑물을 끌어와 비닐하우스에 물을 주며 채소도 키우시고, 잘 키운 상추나 보드라운 열무는 다 뜯어서 우리 손에 쥐어 주신다. 더 줄 게 없는지 살피시는 정이 많은 우리 할머니. 올해는 흙집 허문 자리에 토마토와 고구마 농사를 지으시던데 다음에 가면 맛있는 고구마 삶아 우리를 기다리고 계실 터이다. 오랜만에 할머니 댁에 가면, 할머니는 우리가 출발하기 전부터 기다리신다고 한다. 평상 한쪽에 마련된 의자에 앉아서 언제쯤 오는가 기다리실 할머니를 생각해 조금이라도 덜 기다리시게 하려고 출발 전화를 좀 늦게 드리기도 한다. 그렇게 극적인 상봉을 한 후에 헤어질 때면 할머니는 유모차를 끌고 와 우리를 길게 길게 배웅하신다. “가세이~~~ 또 오세이~~~~” 잘 가고 또 오라는 할머니의 목소리엔 금세 물기가 가득 고이곤 한다. 한참을 손을 흔들고 계신 할머니를 오랫동안 바라본다. 오랫동안 할머니를 기억하기 위해서 말이다. 나는 친할머니의 사랑을 많이 받고 살아서 할머니들을 뵈면 다 우리 할매 같아 좋다. 우연인지 모르겠지만 박필근 할머니는 우리 친할머니를 참 많이도 닮으셨다. 그래서 할머니에게 더 친근함을 느꼈을지도 모른다. 가끔 눈물 훔치며 신세 한탄을 하실 때가 있는데, 그럴 때면 긴급 처방을 내린다. “할매요. 와 멋지니데이!!”라고 화제 전환을 하며 ‘할머니 최고’라고 말하면 눈물을 흘리시다가도 금세 어깨가 으쓱해지시는 우리 할머니 박필근 할머니! 회장댁 회장댁 하며 나를 찾아주신 그 따뜻한 마음이 전해져 그동안 참 감사했다. 무엇보다 박필근 할머니께서 계속 건강하셔서 할머니 좋아하시는 쌀하고 파스, 우황청심환, 홍삼사탕 많이 사서 굽이굽이 죽장 골짜기를 넘어 우리를 기다리실 할머니 댁을 오랫동안 찾아가고 싶다. “할매요!! 우리 왔니데이~~~!!” 2021년 8월 기림일을 앞둔 새벽 회장댁 드림 기사 게재일: 2021.09.07.
-
- 2021년 에세이 [여행에세이] 아름다운 항구, 통영에 자리한 아픈 역사의 길을 걷다
-
코로나 팬데믹으로 ‘여행’의 가능성이 차단된 시대, <결>은 이에 대한 갈증을 글로나마 풀며 여행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여행에세이 [2021, 평화로드]는 일제 침탈과 일본군‘위안부’관련 흔적이 남아있는 지역을 살펴보고 그 안에 담겨있는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고자 하는 시도입니다. 서울, 통영, 천안, 대구, 제주 등 ‘위안부’ 역사와 관련된 다섯 지역을 따라가며, 꼭 기억해야 하지만 쉬이 알지 못했던 이야기들을 만나보는 것은 어떨까요. [여행에세이] 2021 평화로드 1. 서울편 - “기억의 길”을 걷다 – 일본군‘위안부’ 기억의 터와 기림비 2. 통영편 - 아름다운 항구, 통영에 자리한 아픈 역사의 길을 걷다 3. 천안편 - 하늘아래 가장 편안한 곳에 잠든 당신들의 안식을 기원하며 4. 대구편 - 희움일본군‘위안부’역사관으로 떠나는 근대문화거리 투어 5. 제주편 - 총구는 늘 약자를 향한다: 전쟁과 일본군‘위안부’, 그리고 제주도 *통영 인권평화길 투어 추천코스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정의비(남망산조각공원 입구) ⇒ 강구안(거북선, 판옥선) ⇒ 충렬사 방향으로 이동(충렬로) ⇒ 서피랑 99계단 ⇒ 야마호텔 옛터(현재 도로로 정비) ⇒ 서포루(360도 통영항 전경) 남쪽 반도 끝자락에 위치한 한국의 나폴리라 불리는 아름다운 항구 통영. 통영은 따뜻한 기후와 풍부한 수산자원, 여기에 한 폭의 수채화처럼 펼쳐진 천혜의 자연경관이 더해져 예로부터 살기 좋은 곳으로 알려져 왔다. 동네 갯가에만 나가면 바지락, 굴, 파래, 톳, 청각, 미역 등이 지천으로 널려 있어 캐 와서 요리해 먹기만 하면 되었고, 집이 아닌 곳에서 대충 잠을 자도 얼어 죽지 않을 정도로 따뜻한 곳이었기에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 시기 타지역의 가난한 문화예술인들이 통영을 찾은 것도 바로 이런 연유 때문이었다고 한다. 윤이상, 전혁림, 박경리 등 수많은 문화예술인들을 배출한 통영은 예향의 도시로도 유명하다. 또한 임진왜란 때 설치되었던 삼도수군통제영(현재의 해군본부)과 부속 12공방은 통영의 문화예술 전반에 걸쳐 많은 유·무형 유산을 남겼다. 나전칠기, 소목장, 대발, 갓 등 수많은 무형문화재와 함께 독특한 음식문화까지 더해진 문화예술자원의 보고로 통영은 전국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도시가 되었다. 이렇듯 아름다운 예향의 도시 통영에도 아픈 역사가 자리하고 있다는 사실은 1990년대 중반에서야 알려졌다. 그것은 바로 일본군‘위안부’의 존재였다. 1991년 8월 14일, 고 김학순 할머니의 일본군‘위안부’피해 최초 공개 증언으로 나라 안팎은 그야말로 충격에 휩싸였고, 뒤를 이어 터져 나온 또 다른 피해생존자들의 “나도 피해자다”라는 목소리는 일본군‘위안부’문제 해결 운동에 불을 지폈다. 1991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 신고전화가 설치되고 이듬해부터는 전국 읍면동사무소에 정신대 피해 신고전화가 설치되면서 해방 후 반세기 동안 침묵을 강요받았던 피해생존자들과 유족들의 신고가 줄을 이었다. 신고자들은 정부의 심사에서 인정되어야 일본군‘위안부’피해자로 공식 등록될 수 있었다. 신고 이후 등록된 피해생존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정신대연구소(1990년 설립)는 전국을 돌며 이들의 구술을 채록하였고, 그 과정에서 통영을 방문한 연구원을 통해 통영에도 일본군‘위안부’의 아픈 역사가 자리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게 되었다. 세상 밖으로 나온 그들 김학순 할머니의 공개 증언이 언론에 보도되고 신고를 받는다는 이야기가 동네방네 입소문을 타고 퍼져나간 후, 통영지역 피해생존자들이 가족이나 친지, 주변 지인 등으로부터 소식을 듣고 신고하기 시작한 때가 1993~1995년 무렵이었다. 그러나 아무리 살기가 어려워도, 정부가 보상을 해준다고 해도 신고하지 않은 피해자가 더 많았다는 사실은 나중에서야 알게 되었다. 연구원을 통해 알게 된 통영지역 등록피해자는 6명이었다. 이는 등록 당시 거주 지역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대부분의 피해자들은 중일전쟁 이후인 1938~1939년 사이 동원됐다. 통영지역 피해자들의 특징은 대부분 일찍 동원되어 6~7년간 장기간에 걸쳐 피해를 입은 ‘위안부’피해자들로 연령대가 전국 최고령이라는 점이다. 1918년생 맏언니부터 1924년생 막내까지, 이들 모두 고무공장 등 좋은 공장에 취직된다거나 돈 많이 벌게 해주겠다는 말에 속아 상해, 대련, 대만, 필리핀, 인도네시아, 버마 등지의 일본군 위안소로 동원됐다. 통영지역에 등록된 피해생존자들이 많은 관계로 연구자와 활동가들이 구술채록을 위해 통영을 자주 드나들면서 자연스레 할머니들의 증언을 접하게 되었고, 이들 모두가 당시 해상교통 중심지였던 통영 강구안에서 배에 태워져 끌려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동원의 출발지, 통영 강구안 통영 강구안 일대는 통영 관광의 중심지로 거북선과 판옥선 4대가 있어 관광객들이 필수코스로 들르는 장소이다. 강구안은 삼도수군통제영 당시 수군들의 배들이 정박해있던 천혜의 군사 요새였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일제의 수탈에 대항하여 통영 최초의 항일 의거가 일어난 곳이기도 하다. 인근에는 세병관과 충렬사, 동피랑, 서피랑, 남망산공원, 중앙시장 등이 있어 늘 관광객들로 붐비는 핫플레이스로 많이 알려져있는 곳이다. 한산도를 비롯한 통영 앞바다는 일제강점기 당시 세계 3대 어장으로 유명하여, 1910년 한일합방 이전에 이미 개항해 뱃길이 발달해 있었으며 합방 이후에는 상선과 무역선들이 수시로 드나들었던 항구였다. 또한 온난한 기후와 풍부한 어족 자원은 일본인들이 일찍이 대거 통영으로 들어와 거류민 부락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일본인 거류민이 있는 곳엔 언제나 공창 형태의 유곽이 형성됐는데, 통영도 예외는 아니었다. 유곽이 들어섬에 따라 여성을 공급하는 소개소가 생겨난 것도 당연한 일이었다. 일본이 중일전쟁을 일으키며 전선을 확대해감에 따라 수많은 일본 군인들이 전쟁터로 동원됐다. 오랜 전쟁을 수행해온 일본 군인들은 부대에서 자행되는 폭력으로 엄청난 고통을 겪어야만 했고 그로 인한 불안과 불만은 난징대학살과 난징강간이라는 잔인한 폭력으로 귀결되었다. 군대에 만연했던 성병은 군의 사기를 더욱 떨어트렸으며, 일본군의 중국 현지 민간여성 강간 사건은 국제사회에 큰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군은 군위안소를 설치하여 ‘위안부’를 모집하기로 계획을 세우고 이를 실행했던 것이다. 1938년 일제의 전시총동원령이 내려지면서 일본과 식민지 조선이 전시체제에 돌입함에 따라 전쟁 수행을 위한 대대적인 인적 동원이 시작되었고, 통영도 모든 시스템이 전시 동원 체제로 편입된다. 일본 거류민을 따라 생겨났던 소개소도 일본군‘위안부’ 동원의 말단조직으로 편입되면서 위안소에 여성들을 동원하기 시작했다. 통영지역이 경남지역에서 피해자가 많은 지역 중 한 곳이 된 이유는 바로 이런 구조적인 결합과 해상교통의 발달로 ‘위안부’ 집결지였던 부산으로의 동원이 용이했기 때문이다. 통영, 거제 지역에서 모아온 여성들을 강구안에 있는 여관에 가둬놓고 목표치가 채워지면 배에 모두 태워 최종 집결지인 부산으로 수송해갔다. 통영 강구안은 통영, 거제 등 인근지역에서 동원해온 여성들의 1차 집결지였다. 강구안은 당시 대부분 15~16세의 어린 소녀들이 돈 많이 벌어서 부모님과 동생들을 호강시켜주겠다는 부푼 꿈을 안고 눈물을 흘리며 배를 타고 갔던 장소였다. 그들이 천지도 모르는 낯선 땅 중국, 대만, 필리핀, 버마, 인도네시아 등지의 위안소로 갈 줄 꿈엔들 생각했으랴. 도착할 곳이 공장이 아니라 일본군 위안소일 것이라고 상상이나 했을까. 10대에 끌려가 해방 이후 20대가 되어서야 겨우 배를 타고 또 타고서 살아 돌아올 수 있었던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에게 아름다운 고향 통영의 강구안은 가슴에 맺힌 한 많은 장소로 자리하게 되었다. 남망산공원에 자리한 정의비 강구안에서 바다 쪽을 바라보면 앞에 얕은 남망산이 보인다. 통영시민문화회관과 통영조각공원이 있는 남망산공원은 도심 시민휴식공원으로 통영시민의 삶이 깃든 곳이며 시민과 관광객이 즐겨 찾는 전망이 아름다운 곳 중 하나다. 강구안 해안을 따라가다 보면 남망산공원 입구가 나오는데, 오르막길을 걸어 오르면 제일 먼저 두 팔을 벌리고 서 있는 조각상이 눈에 들어온다. 바로 일본군‘위안부’피해자 명예와 인권을 위한 정의비다. 두 팔을 벌린 채 서 있는 정의비는 2013년 4월 6일 민간이 주체가 되어 세운 기림비다. 아픔이 서린 통영 강구안을 내려다보며 서 있는 정의비는 할머니들과 함께 동고동락해온 일본군위안부할머니와함께하는통영거제시민모임(2002년 설립, 이하 시민모임)이 2012년 하반기부터 통영지역일본군‘위안부’추모비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해 모금 운동을 전개하여, 통영시민, 학생, 경남도민 등 시민 모금에 통영시의 건립비 보조금, 부지제공, 경상남도의 건립비 보조금 지원이 보태져 세워졌다. 정의비는 포천석으로 된 석상으로 두 팔을 벌린 채 반추상적인 여성의 얼굴을 하고 있는 전신상으로,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중에는 10대 소녀를 비롯해 20대 여성도 있었기에 피해 여성 모두를 상징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두 팔을 벌리고 있는 형상은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의 정의와 당당함을 나타내고, 가해자의 진심 어린 사죄를 바라며 무언의 미소로 평화의 손짓을 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이 지구상에서 자행되고 있는 전시 성폭력 범죄의 피해 여성들을 감싸 안으며 전쟁과 폭력 없는 평화로운 세상을 염원하는 뜻도 담고 있다. 전신상 아래에는 원형 기단석이 놓여있고, 기단석 표면에는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에 대한 강제 동원과 피해실태를 나타내는 공문서와 사진, 그림 작품들이 시대순으로 새겨져 있다. 기단석 정면 중앙에는 비문을 새겨 정의비의 건립 취지와 의미를 방문객들에게 알리고 있다. 방문객들이 자유롭게 앉아서 감상할 수 있는 데크에는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반인도적 범죄를 설명해놓은 설명판이 있어 피해역사를 쉽게 알 수 있다. 시민모임은 매년 4월 7일 정의비 건립일과 8월 14일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의 날에 기념식과 추모제, 세계연대집회를 정의비 앞에서 개최해오고 있으며, 정의비 위쪽에 있는 통영시민문화회관 소극장과 대전시실에서도 영화제와 다양한 전시를 매년 이어오고 있다. 서피랑 언덕에도 아픔이 정의비에서 다시 강구안 쪽으로 내려와 시내 중앙로를 따라 충렬대로(충렬사) 방향으로 가다 보면 중간 즈음에 서피랑 언덕이 보인다. 벽화마을로 유명한 동피랑과 반대쪽에 있는 서피랑은 꼭대기에 서포루가 자리하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마을 만들기 사업으로 통영 전경이 360도로 보이는 전망 좋은 장소로 정비되면서 관광객의 발길이 점차 늘고 있는 곳이다. 정비 이전 서피랑은 동피랑처럼 언덕에 작은 집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던 달동네였다. 아주 오래전부터 이곳에 ‘야마호텔’이라 불리는 집창촌이 있었다. 야마호텔은 산(山)의 일본 발음인 야마와 영어인 호텔이 조합된 단어로 집창촌의 이름이었으며 ‘야마골’이라고도 했다. 어린 시절 서피랑 언덕에 줄줄이 빨간불이 켜진 집이 무서웠고, 밤만 되면 귀신이 나올까 봐 그곳엔 얼씬도 하지 않았다. 야마호텔이 형성된 시기는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해방 이후라고 전해진다. 당시 통영은 수산업이 매우 활발하던 때라 원양어선 등의 선원들이 주로 이용했고 일반 남성들도 많이 드나들었다고 한다. 야마호텔은 1990년대 이후 쇠락의 길로 접어들었고, 2004년 성매매특별법이 제정되면서 정비되었으나 낡은 건물들이 그대로 남아 있다가 2013년부터 서피랑 마을만들기 사업이 추진되면서 해당 건물들이 철거돼 역사 속으로 완전히 사라졌다. 해방 후 돌아온 일본군‘위안부’피해 여성들은 대부분이 20대 나이였다. 차마 집에 돌아가지 못하고 객지를 떠돌았던 여성들, 그리운 집으로 돌아왔으나 말도 못 하고 눈물로 세월을 보냈을 여성들, 부모와 자신을 원망하며 술로 담배로 고통의 나날을 보냈을 여성들, 감당할 수 없는 상처로 자신의 머리를 대청마루에 찍으며 몸부림쳤던 여성, 살아내기도 죽기도 힘든 처지를 비관하며 자포자기 상태에서 요정으로, 선술집으로, 집창촌으로 향했던 여성들…. 그렇게 통영에서도 야마호텔로, 선술집으로, 요정으로 ‘위안부’ 피해 여성들이 흘러 들어갔다. 식민지의 여성으로 태어나 일본군‘위안부’로 동원되어 멀리 이국땅에서 일본군 성노예로 살아야만 했던 여성들은 고국으로 돌아온 후에도 가부장제 하에서 남성들의 구타와 폭력에 시달리며 살아야만 했다. 비단 ‘위안부’ 피해자만이 아니라 집창촌에 있던 모든 여성들이 가부장제의 폭력으로 고통스러운 삶을 살다 스러져갔으리라. 서피랑을 찾을 때면 99계단 맨 위쪽에 야마호텔이 있었다는 것을 이제라도 기억하자. 수많은 여성들이 폭력에 신음하며 스러져간 자리, 20대가 되어 돌아온 ‘위안부’ 피해자의 피맺힌 울음이 배여 있는 자리인 야마호텔은 부끄럽고 창피해서 숨기고 묻어야 할 역사가 아니라 드러내어 알려야 할 곳이다. 여성 차별에 기반한 성폭력이 이 지구상에서 더 이상 자행되지 않도록 젠더폭력이 없어지는 그 날까지 새기고 새겨야 할 일이라는 것을 기억하자. 그러기 위해서는 여성들의 아픔을 기리고 위로하는 표지석이라도 세워야 하지 않을까. 내가 바라는 것 한 가지 서피랑을 내려오면서 통영지역 피해 여성들의 삶을 되돌아본다. 남자라면 치가 떨려 조카를 키우며 평생 홀로 사셨던 할머니, 해방 후 고향에 돌아와서도 남성들에 속아 힘겨운 삶을 사셨던 할머니, 아버지뻘 되는 남성에게 후처로 들어가 말 못 할 서러움을 안고 살아야 했던 할머니, 할머니들…. 그들 바람은 오직 하나였다. ‘나 너무 억울해. 내가 잘못한 것이 아니야, 일본이 나를 속여서 위안소로 데려가 내 청춘을 이렇게 망가트려 놓았으니 책임져야지. 잘못했다고 해야지. 참말로 사죄해야지.’ 할머니들의 목소리가 서피랑을 내려오는 내내 귓가를 맴돌았다. 열네 분밖에 남지 않은 할머니들이 몇 년 후 다 사라지고 나면 우리는 어떻게 일본의 사죄를 받아낼 것인가. 어떻게 할머니들의 외침을 기억하며 이어갈 것인가. 바로 앞에 던져진 우리 모두의 숙제가 아닐까. 일본군‘위안부’할머니와함께하는통영거제시민모임 단체소개 전시성폭력범죄인 일본군위안부제의 진실과 정의를 올바르게 자리매김하여 피해여성의 인권과 명예 회복을 실현하고 나아가 성차별, 성폭력 없는 평등하고 평화로운 시민사회를 만들고자 2002년 설립, 주로 경남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활동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치유사업 : 정서적 안정 및 심리치유 사업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인권명예회복사업: 범시민탄원엽서보내기운동, 평화인권문화제, 피해자 소송지원 사업, 국제공조사업 -교육사업: 온오프 대중강연 사업, 심포지엄, 청소년공모사업, 온오프 전시회, 다크투어 -기록사업: 경남지역 피해전수조사사업, 경남지역 피해자료 아카이브 구축사업, 경남지역 해결운동사 기록사업, 경남지역일본군‘위안부’역사관 건립사업 기사 게재일: 2021.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