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

178명의 필자가 참여했습니다.

유의상
  • 2019년 논평

    유의상 (현 한중문화협회 사무총장 겸 부회장, 식민과 냉전 연구회 이사)

    유의상 2019.07.12

윤은자
  • 2024년 에세이

    아시아 최대 위안소 유적지에 세워진 '난징 리지샹위안소 유적전시관'이 전하는 위안소 제도와  조선인 '위안부' 피해자들의 삶

    윤은자 2024.11.05

이경희
  • 2023년 에세이

    지역에서의 일본군‘위안부’ 운동은 청소년 시민들이 주인공들이고 희망이다.

    이경희 2023.11.06

  • 2024년 인터뷰

    일본군'위안부' 역사를 왜곡하는 오염된 정보가 증가하고, '수요맞불집회'는 멈출 기미가 없다. 이럴 때 보다 차분하게 머리를 맞대고 우리에게 일어나고 있는 일과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경희 2024.05.21

이나라
  • 2022년 논평

    약자, 훼손당한 자, 분노의 한가운데 있는 자, 분노에 사로잡히는 것을 거부하는 자, 용기 있는 자, 싸우는 자가 되어야 하는 것은 피해자가 겪는 특별한 고난이다. 역설적으로 피해자는 한꺼번에 이 모든 존재일 수 있는 실낱같은 가능성 속에서 특별한 존엄을 갖는다. 

    이나라 2022.10.21

  • 2022년 논평

    증인을 마주한 채 우리는 어떤 청자, 관객, 목격자가 되어야 할까? 증언의 사실성, 증언의 활력을 기대하기에 앞서 우리는 우선 연루되어야 할 것이다. 증인의 모순 속에 우리는 먼저 연루되어야 할 것이다. 

    이나라 2022.10.11

페이지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의
새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