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

178명의 필자가 참여했습니다.

김서연
  • 2024년 에세이

    일본군'위안부'의 역사에 대한 폄훼와 왜곡이 확산되고 있는 시기에 디지털 아카이브는 신뢰도 높은 정보 저장고이자 소통 플랫폼으로 역할을 키우고 있다. 

    김서연 2024.09.09

김선미
  • 2020년 논평

    [기림의 날 특집] 김복동의 위안소 생활부터 인권운동가⋅평화활동가로 활동하기까지 삶의 궤적을 살펴본다. 

    김선미 2020.08.11

김성경
  • 2022년 논평

    여성들의 삶이 근본적으로 진전될 수 있는 상태를 한반도 평화의 일부로 포함시키기 위해 더욱 다양한 상상력들을 동원해야 할 것이다.

    김성경 2022.10.17

김성운
  • 2023년 에세이

    세계 유일의 원폭 피해국인 일본이 결국 자국민은 물론 타 국민에게까지 방사능 오염의 피해를 입히는 가해국이 되었고, 이러한 전환의 가능성이 〈태양의 아이〉에서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김성운, 김효연 2023.09.04

김효연
  • 2023년 에세이

    세계 유일의 원폭 피해국인 일본이 결국 자국민은 물론 타 국민에게까지 방사능 오염의 피해를 입히는 가해국이 되었고, 이러한 전환의 가능성이 〈태양의 아이〉에서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김성운, 김효연 2023.09.04

  • 2023년 에세이

    원폭을 그린 영화들 역시 히로시마·나가사키의 역사적 의미에 대한 재고찰에 참여하면서 3.11 이전의 원폭 영화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김성운, 김효연 2023.09.04

페이지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의
새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