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글 다시보기
2020년 발행된 기사가 총 42건 있습니다.
좌담
-
- 2020년 좌담 독자에게 묻는다. 2019년 웹진 <결> 어땠나요?
-
[독자토크] 독자에게 묻는다 2019년 웹진 <결> 어땠나요? ...
자료해제
-
- 2020년 자료해제 기록물로 보는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
[2000년 여성법정 20주년 특집] 1부 - 20년을 되돌아보다 1. [논평] 정의를 위해 앞장선 이름 없는 영웅, '위안부' 피해자들 2. [자료해제] 기록물로 보는 2000년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
-
- 2020년 자료해제 일본은 어떻게 하이난도(海南島)에 위안소를 세우고 ‘위안부’를 동원하였나
-
일본은 어떻게 하이난도(海南島)에 위안소를 세우고 '위안부'를 동원하였나 ...
-
- 2020년 자료해제 유수명부와 복원명부에서 발견한 조선인 여성들 -하-
-
[일본군'위안부' 관련 명부 들여다보기] 1부 - 일본군'위안부' 관련 명부 종류의 연구의 의미 2부 - 유수명부와 복원명부에서 발견한 조선인 여성들 -상- 3부 - 유수명부와 복원명부에서 발견한 조선인 여성들 -하- 명부에 실린 조선인 여성들은 누구였으며, 어디에서 왔을까? ...
-
- 2020년 자료해제 유수명부와 복원명부에서 발견한 조선인 여성들 -상-
-
[일본군'위안부' 관련 명부 들여다보기] 1부 - 일본군'위안부' 관련 명부 종류의 연구의 의미 2부 - 유수명부와 복원명부에서 발견한 조선인 여성들 -상- 3부 - 유수명부와 복원명부에서 발견한 조선인 여성들 -하- 유수명부와 복원명부 들여다보기 ...
-
- 2020년 자료해제 일본군'위안부' 관련 명부(名簿) 종류와 연구의 의미
-
명부에 수록된 이들은 누구인가 ...
논평
-
- 2020년 논평 50년만의 판결, 2018년 베트남전 시민평화법정
-
[2000년 여성법정 20주년 특집] 2부 - 2000년 여성법정이 시민운동에 끼친 영향 1. [논평] 과테말라 여성인민법정 - 서로의 고통을 물려받은 지구 반대편 여성들의 이야기 2. [논평] 1965년 인도네시아 집단 학살에 관한 국제민중법정 3. [논평] 50년만의 판결, 2018년 베트남전 시민평화법정 ...
-
- 2020년 논평 1965년 인도네시아 집단 학살에 관한 국제민중법정
-
[2000년 여성법정 20주년 특집] 2부 - 2000년 여성법정이 시민운동에 끼친 영향 1. [논평] 과테말라 여성인민법정 - 서로의 고통을 물려받은 지구 반대편 여성들의 이야기 2. [논평] 1965년 인도네시아 집단 학살에 관한 국제민중법정 ...
-
- 2020년 논평 과테말라 여성인민법정 - 서로의 고통을 물려받은 지구 반대편 여성들의 이야기
-
[[{"fid":"938","view_mode":"wysiwyg","fields":{"format":"wysiwyg","alignment":"","field_file_image_alt_text[und][0][value]":"일러스트 : 백정미","field_file_image_title_text[und][0][value]":"일러스트 : 백정미"},"type":"media"...
-
- 2020년 논평 정의를 위해 앞장선 이름 없는 영웅, '위안부' 피해자들
-
[[{"fid":"914","view_mode":"wysiwyg","fields":{"format":"wysiwyg","alignment":"","field_file_image_alt_text[und][0][value]":"일러스트 : 백정미","field_file_image_title_text[und][0][value]":"일러스트 : 백정미"},"type":"media"...
-
- 2020년 논평 돌이킬 수 없는 변신과 점거의 자리
-
점거 운동과 평화의 소녀상 “운동에 참여하고 나면 사람들은 더 이상 이전처럼 살지 않는다.”[1] ...
-
- 2020년 논평 반세기의 침묵, 억압된 기억, 지각한 정의
-
반세기의 침묵, 억압된 기억, 지각한 정의 ...
-
- 2020년 논평 ‘나’를 찾는 김복동의 용기가 세계인권·평화운동으로 우리를 이끌다
-
김복동은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있어서 상징적인 인물이다. '위안부' 피해를 밝히는 증언자라는 사실을 넘어, 인권과 평화를 위한 거침없는 행보로 많은 이들은 그를 인권활동가, 평화활동가로 기억하고 있다. 김복동의 목소리는 많은 이들에게 큰 울림을 주었고, 그가 뿌린 평화의 씨앗은 많은 이들의 가슴 속에 남아 단단한 뿌리를 내리고 있다. ...
-
- 2020년 논평 왜 구술 증언록은 소설로 다시 쓰여야 했는가 - 김숨의 『한 명』을 중심으로
-
이 글은 『구보학보』(2019)에 실린『목격-증언하는 자리와 공진하는 '위안부'의 몸』과 2019년 예테보리 국제도서전 프로그램 북에 실린 “When Literature Inquires the Gender of Labor”의 일부를 요약하고, 지난 8월 22일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콜로키엄(목격-증언의 자리와 공진하는 '위안부'의 몸 : 김숨의 소설을 중심으로...
에세이
-
- 2020년 에세이 할머니의 방 -박옥선 할머니 편-
-
나눔의 집 할머니의 방 1. 할머니의 방 1부 - 이옥선 할머니 편 2. 할머니의 방 2부 - 속리산 이옥선 할머니 편 3. 할머니의 방 3부 - 박옥선 할머니 편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도 모른 채로 ...
-
- 2020년 에세이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으로부터 20년을 되돌아보다
-
[2000년 여성법정 20주년 특집] 1부 - 20년을 되돌아보다 1. [논평] 정의를 위해 앞장선 이름 없는 영웅, '위안부' 피해자들 2. [자료해제] 기록물로 보는 2000년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
-
- 2020년 에세이 NHK의 프로그램 개찬(改竄)사건에 관하여 (상)
-
[2000년 여성법정 20주년 특집] 1부 - 20년을 되돌아보다 1. [논평] 정의를 위해 앞장선 이름 없는 영웅, '위안부' 피해자들 2. [자료해제] 기록물로 보는 2000년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
-
- 2020년 에세이 NHK의 프로그램 개찬(改竄)사건에 관하여 (하)
-
[2000년 여성법정 20주년 특집] 1부 - 20년을 되돌아보다 1. [논평] 정의를 위해 앞장선 이름 없는 영웅, '위안부' 피해자들 2. [자료해제] 기록물로 보는 2000년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
-
-
- 2020년 에세이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책들 2부 - 웹진 <결> 편집위원 추천도서
-
5. 조선인 군위안부와 일본군 위안소 제도 윤명숙 지음, 최정원 옮김, 이학사, 2015. 추천 편집위원 : 류광옥(법무법인 가로수 변호사) ...
-
- 2020년 에세이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책들 1부 -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추천도서
-
1.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정신대연구회 편, 한울, 1993. 추천 편집위원 : 윤명숙(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조사연구팀장) ...
-
- 2020년 에세이 소녀상만사 새옹지마 -독일 '평화의 소녀상' 이야기- <하>
-
2018년 8월, 독일 함부르크, 도로테 죌레 하우스 함부르크에서 시작한 게릴라 소녀상 전시 ...
-
- 2020년 에세이 소녀상만사 새옹지마 -독일 '평화의 소녀상' 이야기- <상>
-
2020년 7월,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대학교 2020년 7월 11일 토요일에 최윤정 건축사와 함께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대학교(이하 괴테대학교) 베스트엔드 캠퍼스 사회학관 로비에서 전시하고 있는 '평화의 소녀상'을 보러 갔다. 최 건축사가 말했다. "로비가 크니까, 소녀상이 작아 보이네." ...
-
- 2020년 에세이 오키나와 사람들과 '위안부' - 기억을 공간화하며 '위안부'의 삶을 증언하는 사람들 <하>
-
2011년, 수요시위 1000회를 맞아 서울의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소녀상이 세워졌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있다. 하지만 그보다 3년 앞선 2008년에 윤정옥이 일본 오키나와 주민들과 함께 오키나와 현지에 '위안부' 추모비를 세웠다는 사실은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다....
-
- 2020년 에세이 오키나와 사람들과 '위안부' - 기억을 공간화하며 '위안부'의 삶을 증언하는 사람들 <상>
-
할머니, 혼, 그리고 오키나와 ...
-
- 2020년 에세이 할머니의 방 -속리산(이옥선) 할머니 편-
-
나눔의 집 할머니의 방 1. 할머니의 방 1부 - 이옥선 할머니 편 2. 할머니의 방 2부 - 속리산 이옥선 할머니 편 3. 할머니의 방 3부 - 박옥선 할머니 편 이옥선 할머니와 속리산 할머니 ...
-
-
- 2020년 에세이 교실에서 만난 일본군'위안부'
-
교실에서 만난 일본군 '위안부' - '위안부' 수업의 성찰적 진화 ...
-
- 2020년 에세이 <김복동>이 남긴 것
-
[기림의 날 특집] 김복동을 기억하다 1. [논평] '나'를 찾는 김복동의 용기가 세계인권·평화운동으로 우리를 이끌다 2. [에세이] <김복동>이 남긴 것 3. [에세이] 김복동을 기억하는 사람들 <상> - 단상 위의 김복동 ...
-
- 2020년 에세이 김복동을 기억하는 사람들 <상> - 단상 위의 김복동
-
[기림의 날 특집] 김복동을 기억하다 1. [논평] '나'를 찾는 김복동의 용기가 세계인권·평화운동으로 우리를 이끌다 2. [에세이] <김복동>이 남긴 것 3. [에세이] 김복동을 기억하는 사람들 <상> - 단상 위의 김복동 ...
-
- 2020년 에세이 김복동을 기억하는 사람들 <하> - 김복동이 뿌린 씨앗
-
[기림의 날 특집] 김복동을 기억하다 1. [논평] '나'를 찾는 김복동의 용기가 세계인권·평화운동으로 우리를 이끌다 2. [에세이] <김복동>이 남긴 것 3. [에세이] 김복동을 기억하는 사람들 <상> - 단상 위의 김복동 ...
-
- 2020년 에세이 [포토스토리] 김복동이 단상에서 내려왔을 때
-
[기림의 날 특집] 김복동을 기억하다 1. [논평] '나'를 찾는 김복동의 용기가 세계인권·평화운동으로 우리를 이끌다 2. [에세이] <김복동>이 남긴 것 3. [에세이] 김복동을 기억하는 사람들 <상> - 단상 위의 김복동 ...
-
- 2020년 에세이 할머니의 방 -이옥선 할머니 편-
-
웹진 <결>은 2019년 10월 "할머니의 내일 - 나눔의 집 김대월 학예실장 인터뷰"를 실은 바 있다. <나눔의 집>에 거주하는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의 공적 활동이 아닌 퇴근 후의 사적 일상을 드러낸 이 인터뷰에 많은 독자들이 공감을 표현해주었다....
-
- 2020년 에세이 새로운 연대를 발명하는 ‘팀(Team) 『풀』’ 이야기
-
김금숙 작가의 『풀』 ...
-
- 2020년 에세이 이름들로부터 읽어낼 수 있는 것 - 『덧칠된 기록에서 찾은 이름들』 서평
-
'위안부' 관련 기록물의 행간을 읽어내고 엮은 책 ...
-
- 2020년 에세이 2주간의 소녀상 관찰기
-
평화의 소녀상을 바라보는 시각은 다양하다. 누군가는 과거사 문제를 의제화하는 사회예술로의 가치가 있다고 말하고, 누군가는 소녀상이 ‘위안부' 문제를 다루는 소통의 매개체 역할을 한다고 말한다....
인터뷰
-
- 2020년 인터뷰 '위안부' 문제를 음악으로 이야기하는 사람들 -2부-
-
일본군'위안부' 문제와 같은 이슈를 이야기하는 것은 용기가 필요한 일이다. 지금과 같이 일본군'위안부' 문제와 관련된 뉴스들이 넘쳐나고 정치적으로 쟁점화된 상황에서는 본래의 의도와는 다르게 자칫 오해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
- 2020년 인터뷰 '위안부' 문제를 음악으로 이야기하는 사람들 -1부-
-
일본군'위안부' 문제와 같은 이슈를 이야기하는 것은 용기가 필요한 일이다. 지금과 같이 일본군'위안부' 문제와 관련된 뉴스들이 넘쳐나고 정치적으로 쟁점화된 상황에서는 본래의 의도와는 다르게 자칫 오해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
- 2020년 인터뷰 전국의 소녀상을 만나다
-
평화의 소녀상을 바라보는 시각은 다양하다. 누군가는 과거사 문제를 의제화하는 사회예술로의 가치가 있다고 말하고, 누군가는 소녀상이 ‘위안부' 문제를 다루는 소통의 매개체 역할을 한다고 말한다....
-
- 2020년 인터뷰 ‘위안부’ 문제를 음악으로 이야기해주세요
-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어떻게 기억할 수 있을까. 이야기한다는 것은 이 주제를 자신의 것으로 가져와 대면하고 사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2019년 12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위한 컴필레이션 앨범 <이야기해주세요 – 세 번째 노래들>이 뮤지션 30여 명의 참여로 발매됐다. ...
-
- 2020년 인터뷰 공통의 역사로 연대하기 - 인도네시아 '위안부' 문제 연구자 에카 힌드라티 인터뷰
-
인도네시아는 한국과 함께 과거 일본의 침략를 경험했던 나라다. 그렇기에 인도네시아에서도 일본군'위안부'라는 슬픈 역사가 존재한다....
-
- 2020년 인터뷰 분노로 그치지 말고, 현재의 내 문제로 바라봐 주세요 - <희움> 일본군‘위안부’역사관 활동가 백선행 인터뷰
-
대구 경상감영길, 근대와 현대가 뒤섞인 거리에 하얀색 2층 건물이 있다. 1920년대 일본식 목조건물의 형태의 외관, 문 옆에는 “NO 아베” 네 글자가 작지만 선명하게 걸려있다. "내가 죽어도 나를 잊지 말아 달라" 는 고(故) 김순악 할머니의 유언과 유산에서 시작되어 수많은 시민의 힘으로 완성된 희움일본군'위안부' 역사관(이하 ‘희움역사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