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결|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웹진
특집
인터뷰
에세이
논평
좌담
자료해제
EN
주 메뉴
특집
인터뷰
에세이
논평
좌담
자료해제
전체보기
부 메뉴
엮어보기
소개
뉴스레터
검색어
검색하기
<관부재판과 끝나지 않은 Herstory> 전시 이렇게 탄생했다
김문숙 이사장이 없는 관부재판은 상상할 수도 없고 관부재판 자료는 그가 남긴 자료 중에 아주 작은 일부분입니다. 관부재판 자료뿐만 아니라 여기에 있는 모든 것들이 중요하니, 휴지 한 조각까지 우리가 다 가지고 가겠습니다.
-
글 김주용
게시일 2023.02.27
도미야마 다에코의 예술-운동: 비/인간 존재의 ‘포스트 메모리’를 기다리며 (1)
도미야마 다에코가 ‘위안부’의 삶에 공감하며 벌였던 예술-운동은, 당사자와 친밀한 관계가 없는 비체험자의 위치에서, 뒤늦게 당사자와 마주한 가해자의 위치에서 그 간극을 극복하고 연결되고자 형식과 내용을 혁신했던 과정이었다.
-
글 신지영
게시일 2022.12.26
도미야마 다에코의 예술-운동: 비/인간 존재의 ‘포스트 메모리’를 기다리며 (2)
도미야마의 예술-운동은, 시공간적 거리와 인/종적 장벽을 훌쩍 뛰어넘어 폭력과 차별에 노출된 채 삶을 버텨온 존재들을 알리고 연결시키려는 끊임없는 시도였다.
-
글 신지영
게시일 2022.12.26
2022년 제2차 웹진 〈결〉 및 뉴스레터 독자만족도 조사 결과
웹진 <결>은 그동안의 발자취를 돌아보고 앞으로 더욱 의미있고 알찬 웹진으로 거듭나기 위해 11월 2주간 제2차 독자만족도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
글 웹진 <결> 편집팀
게시일 2022.12.07
베를린 평화의 소녀상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 -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운동의 전 세계적인 성공 사례
평화의 소녀상은 이제 여성 인권의 상징으로, 베를린 미테구 모아빗에서 수많은 주민들과의 소통을 통해 평화를 전파하게 되었다.
-
글 한정화
게시일 2022.12.05
좌담
일본군‘위안부’ 투쟁 영역의 확장 〈3부〉 - 다르게 선택하기
웹진 <결> 편집팀
일본군‘위안부’ 투쟁 영역의 확장 〈2부〉 - 부딪치는 기억들: 채록·발굴·선택·배치
웹진 <결> 편집팀
논평
도미야마 다에코의 예술-운동: 비/인간 존재의 ‘포스트 메모리’를 기다리며 (2)
신지영
도미야마 다에코의 예술-운동: 비/인간 존재의 ‘포스트 메모리’를 기다리며 (1)
신지영
논평
당신의 이름은
논평
상처와 함께 열리는 새로운 정치 지평 - <2022 여성인권과 평화 국제 컨퍼런스> 참관기
논평
‘위안부’ 문제를 여성인권의 틀로 사유한다는 것
논평
‘시체 구덩이’의 응시와 ‘위안부’ 피해 기억의 재현
논평
〈되살아나는 목소리〉를 통해 본 영화 〈침묵〉에 대한 단상
논평
그들의 싸움에서 우리의 ‘문제(question)’를 재발견하기: 학술 콜로키움 〈증언 이후〉 리뷰
전체 기사 보기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의
새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