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일자리가 있다고 속여 일본 여성을 중국 상하이 소재 해군 위안소로 끌고 간 일본인에게 1936년 일본 나가사키 지방재판소가 유죄를 선고한 판결. '위안부'의 강제 동원을 유죄로 인정하고 가해자를 처벌한 판결로 주목받았다. 전쟁 당시 이미 일본 사법이 '위안부' 모집 과정에서의 문제를 범죄로서 재판했음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2004년에 도쓰카 에쓰로(戶塚悅朗) 변호사가 당시 재판 판결문과 공소판결문을 나가사키 지방검찰청에서 찾았다.
1998년 10월 30일 완아이화(万爱花), 리슈메이(李秀梅), 저우시샹(周喜香) 등 10명의 중국 산시성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유족이 일본 도쿄 지방재판소에 일본정부를 기소하고, 공식사죄 및 법적 배상(피해자 일인당 2천만엔 배상)을 요구한 소송. 일본재판부는 공소시효만료, 개인청구권 소멸의 논리를 원용하여 기각 판결을 내렸고, 피해자들은 2005년 11월 18일 최종 판결에서 패소했다.
<!--StartFragment -->대전화집(大战画集)은 1943년 6월 중국 충칭의 대전화집사에서 창간한 제2차 세계대전 관련 시사 잡지이다. 당시 주요 전쟁 보도, 정치인들의 활동상, 연합군의 전쟁 준비와 전투 기록, 시사 만화, 각국 국민들의 전쟁 생활 소개 등 제2차 세계대전과 관련된 다양한 기사들을 실었다. 1945년 6월 폐간되었다.<!--EndFragment -->
1998년 중국 산시성 '위안부' 피해자 손해 배상 청구소송. 1998년 10월 30일 완아이화(万爱花), 리슈메이(李秀梅), 저우시샹(周喜香) 등 10명의 중국 산시성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유족이 일본 도쿄 지방재판소에 일본정부를 기소하고, 공식사죄 및 법적 배상(피해자 일인당 2천만엔 배상)을 요구한 소송. 일본재판부는 공소시효만료, 개인청구권 소멸의 논리를 원용하여 기각 판결을 내렸고, 피해자들은 2005년 11월 18일 최종 판결에서 패소했다.
중일전쟁 당시 중국에서 일본에 협력, 제휴 혹은 내통한 이들을 이르는 말.
해방 직전 발행된 중국 잡지 『대전화집』에 담긴 연합군 구출 ‘위안부’ 피해 생존자들의 소식
일본 공창제의 역사를 따라가다 만나게 되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국가 차원의 책임
가부장적 사회 분위기에서 침묵 '당했던' 싱가포르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진지한 연구와 성찰
일본 군인들이 남긴 수많은 회고록을 통해 확인하는 '위안소'의 역할과 기능
40대 일본군 위안계장이 중국 우한 '한커우특수위안소'와 조선인 '위안부' 여성들의 모습을 기록한 『우한병참』 비판적 읽기
당대의 맥락주의와 인권의 현재주의 사이의 지적 긴장 위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를 인식하고 조망하기
근현대 세계적 분쟁 시기 발생한 성폭력 문제를 중심 주제로 다룬 영국 최초의 전시 <침묵을 깨다: 분쟁 속 성폭력> 방문기
살기 위해 침묵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제주 여성들을 세상으로 불러내 위로하는 다큐 <목소리들>
이제라도 국가간 대결 구조를 넘어 배봉기의 삶을 기억하고 그녀의 죽음을 애도할 수는 없을까.
마침내 10여 년 만에 '평화의 소녀상'을 전시하는 <표현의 부자유전>을 성사시킨 일본 시민들의 연대 실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