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
- 1965년 인도네시아 집단 학살에 관한 국제민중법정
-
2000년 여성법정은 시민운동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이 글은 2000년 여성법정의 영향을 받아 2015년에 열린 인도네시아 집단 학살에 관한 국제민중법정에 관한 이야기다.
-
- 과테말라 여성인민법정 - 서로의 고통을 물려받은 지구 반대편 여성들의 이야기
-
2000년 여성법정은 시민운동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이 글은 2000년 여성법정의 영향을 받아 2010년에 열린 과테말라 여성인민법정에 관한 이야기다.
-
- 정의를 위해 앞장선 이름 없는 영웅, ‘위안부’ 피해자들
-
[2000년 여성법정 20주년 특집] 올해는 2000년 12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2000년 여성법정' 20주년이 되는 해이다. 20년 전 아시아 모두의 시민운동이 되었던 2000년 여성법정의 의미를 되새겨보고자 한다.
-
- 기록물로 보는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
[2000년 여성법정 20주년 특집] 웹진 <결>에서는 2000년 여성법정 20주년을 맞아, '아카이브814'에 등록된 2000년 여성법정 관련 기록물을 법정이 진행된 시간순으로 정리하여 소개한다.
-
-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으로부터 20년을 되돌아보다
-
[2000년 여성법정 20주년 특집] 일본 방송사 NHK의 PD였던 이케다 에리코는 어떤 과정을 거쳐 여성들의 전쟁과 평화자료관의 명예 관장이 되었을까. 그 과정을 담은 글을 통해 '위안부' 문제의 해결과 미래에 대해 생각해본다.
-
- NHK의 프로그램 개찬(改竄)사건에 관하여 (상)
-
[2000년 여성법정 20주년 특집] 2000년 여성법정을 취재한 NHK 방송 ETV2001《전쟁을 어떻게 심판할 것인가》의 제작부터 방영까지 겪었던 우여곡절을 당시 데스크를 담당했던 나가이 사토루의 글로 만나본다.
-
- NHK의 프로그램 개찬(改竄)사건에 관하여 (하)
-
[2000년 여성법정 20주년 특집] 2000년 여성법정을 취재한 NHK 방송 ETV2001《전쟁을 어떻게 심판할 것인가》의 제작부터 방영까지 겪었던 우여곡절을 당시 데스크를 담당했던 나가이 사토루의 글로 만나본다.
-
-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책들 2부 - 웹진 〈결〉 편집위원 추천도서
-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책들을 소개합니다.
-
- 오키나와 사람들과 '위안부' - 기억을 공간화하며 '위안부'의 삶을 증언하는 사람들 〈하〉
-
이 글은 한국과 일본 사회에서 어느 누구도 첫 번째 '위안부'로 기억하지 못했던 배봉기를 기억하는 오키나와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이들은 '위안부' 문제를 어떻게 기억하고 전하려 했을까.
-
- ‘나’를 찾는 김복동의 용기가 세계인권·평화운동으로 우리를 이끌다
-
[기림의 날 특집] 김복동의 위안소 생활부터 인권운동가⋅평화활동가로 활동하기까지 삶의 궤적을 살펴본다.
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