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성폭력 피해 생존자들로 이루어져 있는 SEMA 우크라이나는 피해자들이 정신적, 육체적 고통과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일상생활로 돌아갈 수 있도록 다방면의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http://semaukraine.org.ua/en/)
글로벌 성폭력 생존자 기금(GSF)은 2022년 성폭력 생존자들의 피해 현황과 그들에게 제공 가능한 배상 및 구제책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이들에게 시급한 배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론이 나오자 우크라이나 정부 및 다른 단체들과 협업해 2023년 피해자들에게 임시 배상을 제공했다. (<a data-rawhref="https://www.globalsurvivorsfund.org/where-we-work/ukraine/" href="https://www.google.com/url?q=https://www.globalsurvivorsfund.org/where-we-work/ukraine/&sa=D&source=docs&ust=1724403773687200&usg=AOvVaw2sgLNMdW_mMxKhQQIGyrL3" target="_blank">https://www.globalsurvivorsfund.org/where-we-work/ukraine/)
'러시아적 세계' 또는 '러시아적 평화'라는 의미를 가진 용어로, 소련의 붕괴 후 러시아 정교회를 중심으로 새로운 민족 정체성을 모색하고 러시아 문화를 확산시키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는 전쟁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주변 국가들에 대한 무력 침공을 정당화하고 자신들의 영향력을 계속해서 행사하려는 민족주의적 의지를 내포한 용어로 비판받고 있다.
브라질 출신 사진작가 마우리시오 리마(Mauricio Lima)는 분쟁 이후의 사회 문제와 반인도주의적 상황으로 변할 수 있는 일상에 초점을 맞춘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우크라이나 분쟁을 기록한 사진으로 2015년 퓰리처상 후보에 올랐으며, 이듬해 유럽 난민을 다룬 작품으로 최종 수상했다.
폴란드 소재 단체로, 리비우의 대학생들에게 국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인턴십을 제공한다. 2023년 12월, 유엔 주재 우크라이나 대사 및 제네바의 다른 국제기구와 함께 SEMA 우크라이나를 위한 자선 경매를 개최했다.(<a data-rawhref="https://leopolisforfuture.org/leopolis-for-future-for-sema-ukraine/" href="https://www.google.com/url?q=https://leopolisforfuture.org/leopolis-for-future-for-sema-ukraine/&sa=D&source=docs&ust=1724403773688344&usg=AOvVaw1_p94ZC7yvnQ88aHD46CNJ" target="_blank">https://leopolisforfuture.org/leopolis-for-future-for-sema-ukraine/)
근현대 세계적 분쟁 시기 발생한 성폭력 문제를 중심 주제로 다룬 영국 최초의 전시 <침묵을 깨다: 분쟁 속 성폭력> 방문기
한국YWCA연합회 활동이 전하는 '위안부' 해결 운동과 연대의 의미
정의와 인류애에 대한 헌신, 여성 폭력에 대한 관심과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스틴티노시와 이곳에 도착한 평화의 소녀상 이야기
'SEMA 우크라이나' 이리나 도브한 대표가 10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속 수많은 여성들이 당하고 있는 가혹한 폭력과 피해를 고발한다.
징 윌리엄스 교수는 가르치는 학생들 중에 여성 인권 옹호자가 나올 수도 있기 때문에 자신의 '위안부' 교육을 '미래를 위한 씨앗을 심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