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 미국 사회에서 ‘위안부’ 문제는 자국중심주의 극복하는 글로벌 시민교육
    미국 사회에서 ‘위안부’ 문제는 자국중심주의 극복하는 글로벌 시민교육

    징 윌리엄스 교수는 가르치는 학생들 중에 여성 인권 옹호자가 나올 수도 있기 때문에 자신의 '위안부' 교육을 '미래를 위한 씨앗을 심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징 윌리엄스, 필리스 김

  • '위안부 역사관'은 역사 부정 세력 극복하는 장기 처방전
    '위안부 역사관'은 역사 부정 세력 극복하는 장기 처방전

    일본군'위안부' 역사를 왜곡하는 오염된 정보가 증가하고, '수요맞불집회'는 멈출 기미가 없다. 이럴 때 보다 차분하게 머리를 맞대고 우리에게 일어나고 있는 일과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경희

  • 2차 ‘위안부 소송’ 판결, 국제인권법 ‘마그나카르타’ 되다
    2차 ‘위안부 소송’ 판결, 국제인권법 ‘마그나카르타’ 되다

    세계적으로도 ‘국가면제’를 극복한 몇 안되는 판결!  일본국을 상대로 한 2차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서울고등법원이 내린 원고 승소 판결은 개인의 재판청구권을 인간 중심으로 보호하는 방향으로 이행하고 있음을 선언하고 있다.

    이상희, 웹진 <결> 편집팀

  • ‘위민 인 블랙 베오그라드’ 스타샤 자요비치 인터뷰 (2)
    ‘위민 인 블랙 베오그라드’ 스타샤 자요비치 인터뷰 (2)

    페미니스트 배려 윤리는 내가 나 자신을 돌볼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저지른 범죄의 피해자를 돌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당신의 이름으로 타인에게 저질러진 범죄의 피해자를 보살피는 것이 지식과 ​​윤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생각합니다.

    스타니슬라바 스타샤 자요비치(Stanislava Staša Zajović)

  • ‘위민 인 블랙 베오그라드’ 스타샤 자요비치 인터뷰 (1)
    ‘위민 인 블랙 베오그라드’ 스타샤 자요비치 인터뷰 (1)

    우리는 시민단체로서 국제기구 외부에서 활동하며, 법치와 자유민주주의를 위해 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스타니슬라바 스타샤 자요비치(Stanislava Staša Zajović)

  • ‘위민 인 블랙 런던’ 수 핀치 인터뷰 (3)
    ‘위민 인 블랙 런던’ 수 핀치 인터뷰 (3)

    위민 인 블랙 런던은 2000년부터 매주 수요일 오후 6시에 런던 중심부 트라팔가 광장 인근의 에디스 카벨(Edith Cavell) 동상 주변에서 집회를 열고 있습니다.

    수 핀치(Sue Finch)

  • ‘위민 인 블랙 런던’ 수 핀치 인터뷰 (2)
    ‘위민 인 블랙 런던’ 수 핀치 인터뷰 (2)

    위민 인 블랙은 개별 여성에 대한 강간과 폭력에서 전시 강간과 폭력에 이르기까지 양방향으로 전개되는 폭력 연속체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펼치고 있습니다.

    수 핀치(Sue Finch)

  • ‘위민 인 블랙 런던’ 수 핀치 인터뷰 (1)
    ‘위민 인 블랙 런던’ 수 핀치 인터뷰 (1)

    위민 인 블랙은 어떠한 조직이라기보다는 행동 방침입니다. 서울의 ‘국제법×위안부 세미나’ 팀이 ‘위민 인 블랙 런던’의 수 핀치(Sue Finch)를 서면으로 인터뷰한 내용, 지금 만나 보시죠.

    수 핀치(Sue Finch)

  • ‘틈새’의 시점에서 본 일본군‘위안부’ 운동 〈2부〉
    ‘틈새’의 시점에서 본 일본군‘위안부’ 운동 〈2부〉

    내셔널한 공동체의 안과 밖, 그 사이-틈새라는 어려운 자리/비판적 위치에서 한국과 일본 사회를 경험하며 ‘위안부’ 문제를 성찰해 온 야마시타 교수를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이헌미 학술기획팀장이 만나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야마시타 영애(山下英愛), 이헌미

  • ‘틈새’의 시점에서 본 일본군‘위안부’ 운동 〈1부〉
    ‘틈새’의 시점에서 본 일본군‘위안부’ 운동 〈1부〉

    기나긴 사회적 침묵 끝에 1990년대에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의 공개 증언이 나올 수 있었던 배후에는 탈냉전과 민주화, 탈식민 여성주의 인식론이 열어젖힌 새로운 담론공간이 존재한다. 종전에 민주화운동의 하위 부문으로 치부되던 여성운동 또한 한국 사회에 깊게 뿌리박힌 성차별과 성폭력을 비판하면서 진영이 재편되었다.

    야마시타 영애(山下英愛), 이헌미

페이지

인터뷰 구독하기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의
새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