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명’이 마지막이 되지 않으려면

Posts 강희정

  • Created at2021.11.15
  • Updated at2022.11.28
김숨 작가 특집: 역사, 증언, 그리고 문학

1991년 김학순의 증언 이후 30년. 일본군’위안부’ 피해 증언을 ‘듣는’ 우리는 어디까지 와있을까. 낯선 땅으로 ‘끌려간 소녀’, 고통의 기억을 몸에 새긴 ‘할머니’, 문제해결을 위해 국제적으로 목소리를 높인 ‘여성인권 운동가’에 이르기까지, 그저 ‘피해생존자’로 한정하고 손쉬운 프레임 안에 가둬온 것은 아닌지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2016년 이후 또렷해진 페미니즘 담론과 ‘미투’ 운동의 흐름 속에서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어떻게 기억하고 기록할 것인지 질문은 계속되어 왔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복수의 구술증언을 토대로 쓰여진 김숨의 장편소설 『한 명』(2016,현대문학)은 발표 이후 꾸준히 이 ‘재현’의 문제를 논하기 위한 재료로 이야기되어 왔으나, 이 의제가 갖는 중요성과 무게에 비해 충분히 논의되었는지 의문이다.

2021년 9월, 동명의 소설이 연극으로 재탄생하여 무대에 올랐고, 이 소설이 전제하고 있는 극중 상황과 마찬가지로 정부 등록 일본군’위안부’ 생존자의 수는 계속해서 줄어가고 있다. 웹진 <결>은 피해 당사자이자 목격자, 증언자이자 기록자로서의 ‘한 명’들의 기억이 현재 한국 문학에서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 이 패러다임의 전환은 어떤 차원에서 고민되어야 할지 진지한 논의의 장을 제안하고자 한다. 소설 『한 명』을 포함한 김숨 작가의 글을 중심으로 네 명의 필진이 ‘위안부’ 문제의 재현에 대한 새로운 질문을 던져 줄 것이다. 이 각각의 질문이 앞으로 더 발전적인 논의를 위한 출발점이 되기를 희망한다.

01. 소설 『한 명』이 연극 <한 명>이 되기까지 | 국민성
02. 묻기에서 듣기로 단수에서 복수로, ‘위안부’ 서사 규범의 변화가능성 - 증언소설로서의 김숨의 『한 명』 | 권김현영
03. ‘한 명’이 마지막이 되지 않으려면 | 강희정
04. 저문 증언의 시대에서 | 박혜진

 

 침묵을 통과해야만 들리는 소리가 있다. 요컨대 깊게 내쉬는 한숨 소리, 참다못해 터져 나온 기침 소리, 고통을 억누르는 신음 소리 등, 미처 ‘말’이 되지 못했거나 혹은 말이 되기 전 ‘음성(音聲)’의 단계에 머물러 있는 소리가 그렇다. 그 밖에도 주변을 살피느라 분주히 움직이는 눈동자라든가, 초조함에 입술을 물어뜯거나 손톱을 깨무는 등의 사소한 몸짓(행위) 역시 침묵 속에서만 발현되어 ‘소리’로 인식되거나 포착될 수 있다. 이 소리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계속, 주위에 ‘말’로서 산재해 있었으나 현재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언어체계 및 언어생활 내에서 ‘말’의 범주로 승인되지 못했기에 우리들의 일상 속에서 ‘소음’이나 아무런 의미 없는 소리로 치부된 것이다. 그리고 다른 누군가에게서 들리는 소리를 단순히 어떤 소음에 지나지 않은 소리로 여기고 말 것인지, 아니면 말로 인정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는 그러한 존재의 가시화 여부와도 긴밀히 연관된다. 의미를 얻지 못한 말이 없어지고, 축소되어야 하는 소음으로 전락해 그 가치를 상실해 버리고 마는 것처럼, 자신의 말을 ‘말’로서의 지위를 가지지 못한 이들은 응당 가져야 할 존재 의미와 자신의 자리조차도 쉬이 확보할 수 없는 처지가 되어버리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실로 긴 시간, 문학은 예술과 문화의 영역에서 ‘언어’를 다루는 최전선으로 그 가치를 단단히 다져왔다. 하지만 현재 우리가 ‘언어’라고 분류, 사용하고 있는 구조가 형성된 이래, 이러한 체계가 가지는 적절성 및 영향에 대해 정밀한 검토나 성찰 없이 ‘문학’이라는 이름 아래 정당화해온 것 또한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나마 시의 언어가 기존의 언어체계를 지키지 않거나 무화하는 방식으로 언어의 기능을 의심하고, 언어 바깥의 영역을 탐구/실험하는 등의 시도를 지속해오긴 했으나, 소설은 언제나 기존 언어의 기능을 강화하고 특화하는 방식으로 발전해왔다. 90년대 이후, 그리고 근래의 페미니즘 리부트를 기점으로 형성되었던 근대 (언어)체제의 산물이자 재현물로서 소설이라는 문학 장르의 문제점을 지적, 비판하는 비평적 흐름도 바로 이런 소설의 특성과 무관하지 않다. 소설에 사용되는 ‘언어’가 소수 집단을 배제하거나 소외시켰을 뿐 아니라 이들을 특정한 도식을 통해 특정한 방식으로만 재현해 왔다면, 그간 우리가 향유해 왔던 소설과 소설 속 인물들은 얼마큼 진실하다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 그런 구조 아래 우리는 소설에서 과연 도덕과 윤리를 논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소설의 가치가 보존되는 것이 마땅하다고 할 수 있을까. 여러 가지 질문과 답변이 교차하는 가운데 재현물에서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의 재현 문제 역시 논외는 아니었다.

 2015-2016년, 한국에서는 <제국의 위안부> 사태 및 박근혜 정부의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증폭했다. 같은 시기 문화·예술 분야에서 장르를 가리지 않고 ‘위안부’ 문제를 다룬 창작물(재현물)의 수가 급증한 것도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의 힘을 빈 것이다. 또한 이 시기는 작품 수 증가와 더불어 서사 내에서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를 재현하는 방식에 변화가 생겨났던 때이기도 하다. 과거 1990년대를 전후로 하여 발표된 작품에서 ‘위안부’ 피해자는 대개 성인 여성의 모습으로 섹슈얼리티를 강조하는 방식이 주를 이뤘다. 한편, 2015년을 기점으로 하여 최근 발표된 작품의 경우, 대부분 실제 피해자의 증언이나 실화를 바탕으로 소녀, 혹은 할머니의 모습을 통해 여성 연대를 강조하는 서사화 방식이 특징적이다. 여성 신체를 성애화하는 과거 경향에 반해 피해자, 그리고 여성 간 연대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한 현대의 흐름은 분명 얼마간 호전된 지점이 있다. 그렇지만 여전히 소녀나 할머니의 모습으로 전형화된 ‘피해자 상(像)’을 반복적으로 고착화한다는 점에서 마냥 이상적인 방식이라 낙관할 수 없다. 이는 반드시 ‘언어체계’를 경유하여야만 그 의미가 구성, 유통될 수 있는 ‘재현’이라는 방식 자체가 지닌 한계이자 문제이기도 하다.

 문학에서뿐만 아니라 서사를 구성하는 방식으로서 ‘재현’이 반드시 다른 누군가를 배제(누락)하거나 왜곡하고 어떤 ‘전형’으로만 드러낼 수 있는 것이라면 ‘더 나은 방식’의 재현만이 있을 뿐 실상 답을 특정할 수 없는 문제인지 모른다. 그런 점에서 2016년 장편소설 『한 명』(현대문학)을 시작으로 최근작 『듣기 시간』(문학실험실, 2021)에 이르기까지 김숨이 실제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의 증언을 바탕으로 한 작품을 펴내는 동안 그의 작품 속에 드러나는 문제의식은, 그간 근대 언어체계에 의해 비가시화되었던 역사적 존재를 어떻게 서사 양식 안으로 들여올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사유할 지점을 만들어준다.

머리카락에 걸린 기억을 빗으며 ⓒ백정미


 『한 명』은 한국 사회에서 일본군‘위안부’ 재현물이 급증하던 시기 발표된 작품 중 하나로, 실제 ‘위안부’ 피해자의 증언을 참고, 인용한 것이 특징이다. 역사적 사건과 실화를 참고하거나 실제 증인의 증언 혹은 목소리를 인용한 사례가 『한 명』이 처음은 아니다. 하지만 김숨의 작품 속에서 각주 기호와 고딕체를 통해 강조된 인용의 흔적은 증언이 실제, 진짜임을 강조함으로써 진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김숨이 실제 증언을 토씨 하나 바꾸지 않고 그대로 인용한 이유는 작가의 말에서 추측해볼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소설적 상상력이 피해자들이 실제로 겪은 일들을 왜곡하거나 과장할까봐, 피해자들의 인권에 손상을 입힐까봐 조심”스러웠으며 실상 “그 증언들이 아니었다면 (나는) 이 소설을 쓰지 못했을 것”이라 말했다. 즉 그는 애초 『한 명』을 집필할 때부터 증언(구술)을 소설이라는 언어체계 양식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자신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일정 정도 작가의 주관이 개입될 수밖에 없다는 재현과 언어의 한계를 직감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리고 언어와 재현의 서사가 가지는 한계점 외에도 증언을 소재로 하는 재현물이 극복해야 할 또 다른 곤경이 하나 남아 있다. 바로 피해자가 자신이 겪은 폭력의 경험과 기억을 모두 언어화하여 진술할 수 없다는 증언 불가능성의 문제다. 이는 죽음에 가까운 폭력을 경험한 생존자/피해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김숨은 작가로서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의 증언을 기록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그들의 ‘말’에 위해를 가할 수밖에 없다는 점과 고통스러웠던 기억을 정확한 언어로 설명·전달할 수 없다는 이중적 한계를 뛰어넘어야만 했던 것이다. 『한 명』 출간 2년 후, 2018년에 동시 발표된 두 편의 증언소설집 『숭고함은 나를 들여다보는 거야』(현대문학)와 『군인이 천사가 되기를 바란 적 있는가』(현대문학)는 김숨의 그러한 고민과 극복을 위한 실천이 잘 드러나 있는 텍스트다. 단순한 증언 기록집이 아니라 고(故) 김복동 님과 길원옥 님을 직접 만나 뵙고 들은 이야기를 책으로 엮은 것이다. 여기에서 김숨은 ‘어떻게 쓰느냐’가 아닌 ‘무엇을 들을 것이냐’로 관점을 전환하여 재현의 문제에 접근한다. 두 분과 대화하는 동안 오갔던 말들을 포함해서 ‘침묵’까지도 ‘말’로 간주하여 텍스트로 들여옴으로써 차마 언어로 발화될 수 없었지만 신체에 선명하게 새겨진 상흔과 고통의 기억을 듣고자 한 것이다.

 『한 명』을 지나 두 편의 증언소설집을 펴내기까지 고민의 과정과 경로는 최근작 『듣기 시간』(문학실험실, 2021)에서 더 자세히 드러난다. 구술 증언 채록자인 ‘윤주’가 ‘위안부’ 피해자들의 구술 증언을 책으로 엮는 프로젝트의 연구자로 참여하며 구술 인터뷰를 진행하는 과정을 그린 텍스트는 시간적으로 가장 최근에 발표된 소설이지만 실상 『숭고함은 나를 들여다보는 거야』와 『군인이 천사가 되기를 바란 적 있는가』를 작업하는 시기의 자신의 경험을 자전적으로 풀어 쓴 것이라 보아도 무방하다. 그러니까 김숨은 스스로를 ‘작가’가 아닌 ‘인터뷰어’ 즉 ‘청자’의 입장에 두고 두 분의 말씀을 옮겨 적는 게 아니라 청해 ‘듣기’를 선택한 것이다. 그리고 어쩌면 “애초 불가능한 작업이었”(『듣기 시간』, 문학실험실, 2021, 30쪽)을지 모를 받아쓰기를 포기하고 온몸으로 발화하고 있는 그의 말을 신체적으로 받아들이고자 한다. 이는 해독할 수 없었던 그녀의 “눈의 말”(19쪽)을 이해하는 과정이며 마침내 침묵까지도 대화의 일부가 되게 함으로써 “받아쓰는 이의 문자 언어”(30쪽)가 아닌 “말하는 이의 문자 언어”(30쪽)가 증언으로 기록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 것이다. 23분이 넘게 이어지는 긴 침묵 속에서 비록 말이 되지는 못했으나 그녀의 “표정, 몸짓, 한숨, 눈빛, 얼굴빛, 시선, 눈동자의 떨림, 망설임, 눈물”(9쪽, 10쪽)이 내는 소리를 몸으로 받아들이며 우리는 비로소 그들의 아픔을 얼마간 전해 받을 수 있다.

 1991년 8월 14일, 고(故) 김학순 님의 첫 증언 이후 3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김학순 님을 시작으로 이어진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은 그대로 은폐되었을지 모를 일본 제국주의의 만행을 세상에 알리고, 나아가 제국주의 국가 폭력과 전시 성폭력 문제를 의제화함으로써 국경과 인종의 경계를 허무는 초국적 연대의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하지만 그럼에도 매년 성범죄는 끊이지 않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여전히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를 비롯한 성폭력 피해자의 고통을 괄시할 뿐 아니라, 이들을 공격하고 혐오하는 세력이 존재한다. 더군다나 2021년 올해에만 국가에 정식으로 등록된 ‘위안부’ 생존자 중 세 분이 세상을 떠나, 이제 남은 생존자의 수가 열세 명이 되었다. 소설, 『한 명』의 가상적 배경으로 제시되었던, 생존자가 단 한 명밖에 남지 않은 상황이 더 이상 ‘가정’이 아니게 되었으며, 이제는 한 명 ‘이후’를 각오해야 할 때가 온 것이다. 즉 이들의 ‘말’을 잊지 않고 기록하는 일과 더불어 이 말들을 앞으로 어떻게 이어나갈 것인지를 모색해야 하는 때이기도 하다는 의미다.

 물론 많은 논의가 필요한 일일 테다. 하지만 이미 우리는 ‘너’와 ‘나’라는 구획된 경계를 넘어 여럿이자 하나로 연결된 사례를 경험/목격한 바가 있다. 김학순 님의 증언 이후 용기를 얻고 ‘나도 피해자’라는 말을 하게 된 ‘위안부’ 피해 생존자들의 사례가 그러하고, 근래 온라인 공간을 기반으로 일어난 다양한 연대의 운동 역시 마찬가지다. 서로의 목소리와 존재를 지지대 삼아 이어질 수 있었던 ‘이어 말하기/쓰기’는 마지막 한 명의 생존자 이후를 상상해볼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므로 이들의 목소리와 말은 하나의 이야기가 아닌, 여럿인 동시에 하나로 연결된 몸과 몸을 넘나드는 공통 감각을 통해 우리의 신체에 기록되어야 마땅하다. 말해지지 않았거나, 말해질 수 없었던 ‘소리’들 까지 빠짐없이 들을 수 있으려면 말이다.

Related contents

  • 소설 『한 명』이 연극 〈한 명〉이 되기까지
    소설 『한 명』이 연극 〈한 명〉이 되기까지

    웹진 <결>은 피해 당사자이자 목격자, 증언자이자 기록자로서의 ‘한 명’들의 기억이 현재 한국 문학에서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 이 패러다임의 전환은 어떤 차원에서 고민되어야 할지 진지한 논의의 장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 첫 번째로, 소설 『한 명』을 연극 <한 명>으로 각색한 국민성 작가의 글을 전한다. 그가 연극 무대를 통해 보여주고 또 말하고자 한 것은 무엇이었을까. 

    국민성 2021.10.25

  • From Asking to Listening, from Singular to Plural: The Transformability of “Comfort Women” Narrative Norms in Kim Soom’s “One Left”
    From Asking to Listening, from Singular to Plural: The Transformability of “Comfort Women” Narrative Norms in Kim Soom’s “One Left”

    In some way or another, testimony literature must provide its ow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to represent and how. So what was the answer found by Kim Soom’s novel “One Left” (Hyundae Munhak, 2016)?

    Kwon-Kim Hyun-young 2021.11.08

  • The Twilight of Testimony
    The Twilight of Testimony

    Kim Soom’s novel  “One Left”(Hyundae Munhak) is a work that announces a new turning point in the era of testimony. worldview formed ahead of these final moments, and can it present us with meaningful realistic possibilities not only in literary terms but also social and historical ones?

    Park Hye-jin 2021.11.26

Writer 강희정

문학평론가, 2021 부산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문 당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