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미투 운동과 ‘위안부’ 문제 2부 - 역사의 교차, 문화의 번역

조경희(趙慶喜)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열림교양대 조교수

  • 게시일2019.12.24
  • 최종수정일2022.11.28
이 글은 『여성문학연구』 47호(2019)에 실린 「일본의 #MeToo 운동과 포스트페미니즘: 무력화하는 힘, 접속하는 마음」의 내용을 요약‧수정한 것이다.

 

일본의 미투 운동과 ‘위안부’ 문제 

1부. 역사수정주의, 백래시, 그리고 ‘위안부’ 문제 
2부. 역사의 교차, 문화의 번역 


매개로서의 ‘위안부’ 문제

1부에서는 일본에서 미투운동이 잘 드러나지 않는 배경으로서 1990년대 이후 백래시와 역사수정주의가 결합하여 전개되었고, 그 중심에 늘 일본군‘위안부’ 문제가 있었음을 확인했다. 일본의 우파들은 ‘위안부’ 문제의 부정을 통해 자신들의 정치적 도덕적 신념을 키워왔고, 최근에는 유엔 등 국제적인 무대에서 ‘위안부’ 역사를 부정하는 활동에 진력하고 있다. 

그런데 ‘위안부’ 문제를 자신들의 자원으로 삼는 것은 물론 우파들만이 아니다. 일본의 페미니즘 운동 역시 성적 존엄성의 회복을 요구한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을 미투 운동의 시조로 되새기고자 하였다. 일본의 페미니스트들은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지원운동이 '전시 성폭력'이라는 개념을 새롭게 창출하고, 국제적으로도 '성노예제'라는 말을 공유하게 한 성과를 말하면서 김학순 할머니를 비롯한 피해자들의 역사를 현재의 일본 사회와 적극적으로 접속시킨다. 그리고 미투운동이 확산되지 않는 원인을 여전히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있는 일본 정부와 사회의 체질에서 찾고 있다. 

미투운동과 ‘위안부’ 문제를 연결하려는 구도는 한국보다 일본에서 더 강조되었으며, 한국 시민사회를 본보기로 삼는 움직임 또한 나타났다. 젠더 연구자인 무타 카즈에(牟田和恵)는 ‘위안부’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위안부문제는 #MeToo다!〉라는 짧은 동영상을 제작하여 수요집회의 모습과 함께 ‘위안부’ 운동을 이끌어온 활동가와 연구자들의 인터뷰를 담았다. 영 페미니스트 예술가집단인 내일소녀대(明日少女隊)도 "‘위안부’문제는 #MeToo다"를 내세워 각지에서 '망각에 대한 저항' 퍼포먼스를 펼쳤다.[1] 

그 동안 지속해온 ‘위안부’ 연구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를 비롯한 지원운동, 2000년 여성국제전범법정의 추진, ‘위안부’ 소녀상을 둘러싼 시민사회의 호응, 그 속에서 한국‧일본‧재일조선인들 사이의 참조와 연대의 축적이 있었기에 이와 같은 인식의 지평이 가능했다. ‘위안부’ 피해의 역사와 연결할 뿐 아니라, 한국의 현장을 참조대상으로 삼고 일본의 미투운동을 임파워하고자 하는 시간적, 공간적 접속은 미투운동과 ‘위안부’ 운동 양쪽에서 네이션의 스케일을 벗어나는 동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것은 단지 이토 시오리와 서지현이라는 두 상징적 인물을 비교하는 방식보다도 훨씬 더 다이내믹하고 복잡한 시선의 교차를 낳고 있다. 

 

2018년 8월 12일의 집회 포스터  〈일본군 ‘위안부’ 메모리얼데이 in 도쿄 김학순씨부터 시작된 #MeToo〉

 

내일소녀대 ‘망각에 대한 저항’ 퍼포먼스, 2018년, 로스앤젤레스

 


미투 지원운동의 조용한 확산

2019년 4월 10일 '이토 시오리의 민사재판을 지원하는 모임 Open the Black Box'가 결성된 것은 특기할만하다. 원래 'Fight Together With Shiori(FTWS)'라는 이름으로 준비모임을 가졌던 몇몇 활동가들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이 모임은"성폭력 피해만의 문제가 아니라 이 사회에 있는 블랙박스를 하나하나 열어가는 시작"이라는 취지를 가지고 정식 발족했다.[2] 

이토의 기자회견 후 지원 서명운동을 시작한 #WeTooJAPAN 발기인인 후쿠하라 모니카(福原桃似花)를 비롯하여 변호인단과 기존 여성운동 활동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150명이 모인 이 자리의 중심에 일본에서 일본군‘위안부’ 지원운동을 이끌어온 재일조선인 2세 양징자(梁澄子)가 있었던 점도 상징적이다. 

다른 하나의 움직임은 성폭행에 대한 사법 판단에 항의하는 플라워시위다.[3] 2019년 4월 이후 매월 11일 전국 대도시에서 200~400명의 여성들이 모여 자신들의 성폭력 경험을 공유하는 시위를 진행 중이다. 항의 행동의 계기가 되었던 것은 3, 4월에 성폭행과 관련해서 전국의 지방법원에서 나온 연이은 무죄판결이었다. 

2019년 3월 12일 후쿠오카 법원은 준강간죄로 고발된 남자에게 "남자는 여성이 합의했다고 착각했다"면서 무죄판결을 내렸고, 4월 4일 나고야 법원은 친딸을 중학교 2학년 때부터 성적으로 학대한 아버지에게 딸이 "저항하려면 할 수 있었다"는 이유로 무죄판결을 내렸다. 일본의 여성들은 이 시대착오적 판결에 항의하면서 피해자들에게 다가가는 마음을 담아 꽃을 들거나 꽃무늬 옷을 입고 시위에 참여했다. 그리고 이 시위를 '플라워 시위'로 명명했다. 

모임을 기획한 중심인물인 기타하라 미노리(北原みのり)는 작가이자, 사업가로서 일본의 페미니즘 운동을 이끌어 온 인물이다. 그는 한류에 열광하는 여성들의 욕망을 지지하는 사람이자, ‘위안부’ 운동에 개입하는 활동가이기도 하다. 그동안 한일 양국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축적되어 온 ‘위안부’ 운동을 어떻게 이어갈 것인가, 한국과의 소통을 어떻게 일본 페미니즘에 힘을 실어주는 계기로 만들 것인가, 앞을 가로막아 서는 벽에 어떻게 균열을 일으킬 것인가, 그리고 여성들 스스로가 어떻게 자신들의 문제를 가시화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들은 그녀를 포함한 일본의 미투 운동을 지지하는 사람들의 계속되는 고민이다. 

이 글을 끝맺으려는 참인 2019년 12월 18일 오전, 이토 시오리가 일으킨 소송에 대한 1심 판결이 내려졌다. 피고 야마구치에 대한 330만 엔의 배상 판결과 함께 재판은 그의 행위의 불법성을 명시하였고, 증언의 진정성을 법적으로 인정하였다. 피고에게 한없이 관대했던 그동안의 일본의 성폭력 판결내용을 생각했을 때, 이날의 판결은 획기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토가 시작한 미투 운동은 승리를 거두었다. 비록 이 판결이 그가 버텨낸 고통의 시간을 상쇄할 수 없고, 재판 투쟁이 끝이 난 것은 아니지만 성폭력 고발의 정당성을 인정한 이 판결이 갖는 사회적 의미는 크다. 이토의 투쟁과 지원 운동이 지금도 자기책임을 따지는 분위기 속에서 침묵할 수밖에 없는 수많은 피해자에게 큰 용기를 안겨줄 것이며, 이를 계기로 일본의 미투운동은 서서히 확장될 것이다. 

플라워 시위

 


문화번역의 실천과 새로운 정치적 상상력

2019년은 『82년생 김지영』(조남주, 민음사, 2016)을 비롯한 한국의 페미니즘 문학이 일본에 적극적으로 수용된 것도 주목할 만하다. 『82년생 김지영』 일본판은 2018년 12월 출간 후 나흘 만에 3쇄를 찍고, 4달 만에 13만 부를 찍는 돌풍을 일으켰다. 2020년 1월 20일 현재도 아마존 재팬 '아시아문학 작품 랭킹'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 뿐 아니다. '아시아문학 작품' 베스트 10 중 7개가 한국의 여성작가들의 작품이 차지하고 있고, 최근 "한국‧페미니즘‧일본"이라는 특집을 꾸민 『文藝』 2019년 가을호는 1933년 창간 이래 86년 만에 이례적인 3쇄를 찍는 기록을 세웠고 결국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페미니즘 리부트를 거친 한국의 여성주의 서사는 지금 일본에서 일부의 매니아층을 넘어 대중성을 획득하는 과정에 있다. 

아마존 재팬에 달린 200개 이상의 리뷰에는 "이것은 우리들의 이야기", "나도 김지영", "여성의 일상에 있는 무한한 절망", "비통한 감각", "절망 끝의 희망", "교과서에 실려야 한다"는 등 작품에 대한 공감을 열정적이고 직설적으로 드러내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이 책이 베스트셀러가 된 한국에 대한 직접적인 부러움과 동경 또한 리뷰에서 읽어낼 수 있다.


“일본의 수준은 한국보다 낫다"고 안주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 반대편에는 침묵을 강요하는 일본 사회에 몸부림치는 사람들이 확실히 존재한다. 이들에게 한국의 사회문화적 동력은 하나의 모델을 제공한다. 직접적 정치참여를 통해 정의를 구현하려고 하는 한국을 선망하는 모습은 그동안 촛불시위를 비롯한 사회운동 과정에서 종종 볼 수 있었는데, 폭발적인 미투운동을 거쳐 ‘김지영’ 신드롬 속에서 더 광범위하게 표출되고 있다. 

사이토 미나코(斎藤美奈子)는 '일본에서 균등법, 기본법 제정 등 페미니즘의 제도화가 비교적 빨리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82년생 김지영』에 해당되는 페미니즘 입문서가 없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다나카 미츠(田中美津)나 우에노 치즈코(上野千鶴子) 등 1970-80년대 저작들이 너무 빛 바래버린 현실 속에서,"K페미는 J페미의 '30년의 공백'을 메우는 역할을 하고 있을지 모른다"고 토로하였다.[4]  

다만, 한일 간 문화적 참조 관계의 역전을 강조하는 서사는 식민주의와 근대화론의 위계질서를 거꾸로 설정하는 민족주의적 욕망으로 회수될 위험성이 있다. 한국이 압축적 근대를 거쳐 신자유주의 사회의 길을 가면서도 개개인의 욕망이 집합적인 사회운동으로 승화될 수 있었던 것은 탈식민 분단국가로서의 폭력의 경험과 상실감, 트라우마에 노출되면서 동시에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규범이 강하게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단선적인 문화적 소비와 위계화의 욕망을 넘어, 서로 다른 역사성을 교차시키는 문화번역의 실천이 요구된다.

또한 이 과정을 곧바로 한일 여성연대 등으로 정리하는 안일함도 피해야 할 것이다. 기본적으로 시스젠더 이성애 국민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이야기를 둘러싼 공감은 늘 주류 여성들 간의 지적 교류에 머물고 마는 한계를 갖고 있다. 그동안 일본군'위안부'문제가 재일조선인 여성 연구자, 활동가들에 의해 촉발되어 온 경험을 마지막으로 다시 상기시키고 싶다.

미투와 ‘위안부’ 문제의 접속, 『82년생 김지영』을 둘러싼 문화번역의 과정은 지식인들의 담론을 넘어 대중들의 동시대적인 정동과 맞물리면서 진행되고 있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연대의 형태조차 없는 수많은 마주침의 순간들을 포착하고 키워가는 일이다. 역사를 해결하거나 관계의 균열을 봉합하는 방식이 아니라, 갈등의 역사를 직시하고 더 말하는 과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文藝』 “한국‧페미니즘‧일본” 특집호(2019년) 표지

 

각주

  1. ^ https://tomorrowgirlstroop.com/ianfu
  2. ^ https://www.facebook.com/opentheblackbox
  3. ^ https://www.flowerdemo.org
  4. ^ 斎藤美奈子, 「世の中ラボ 【第106回】いま韓国フェミニズム文学が熱い」, webちくま 2019.2.21. 
       http://www.webchikuma.jp/articles/-/1629

연결되는 글

글쓴이 조경희(趙慶喜)

사회학/일본학 전공. 연구분야는 식민지 사회사, 재일조선인, 이동과 소수자 등이다. 주요공저에 『주권의 야만: 밀항, 수용소, 재일조선인』(2017),  『<나>를 증명하기: 아시아에서 국적, 여권, 등록』(2017), 『전후의 탄생 : 일본, 그리고 조선이라는 경계』(2013), 『귀환 혹은 순환: 아주 특별하고 불평등한 동포들』(2013) 등이 있다.

 

cake734@gmail.com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의
새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