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전쟁이 인간에게 남기는 심원한 고통에 관해 얼마나 아는가.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뿐 아니라 원폭 피해자와 사할린 잔류자의 인권 문제 또한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에서 배제되었다. 특히 원폭 피해는 전시 성폭력과 유사하게 몸에 직접 작용하여 성적 재생산 권리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일종의 사회적 낙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웹진 〈결〉은 연구자 2인의 글에 원폭 피해자들의 일상을 담은 김효연의 사진 작업 ‘감각이상’을 병치하는 기획을 마련했다.
글: 오은정 X 사진: 김효연
김정순 씨는 1944년 규슈의 아키이케 탄광에 징용공으로 일하던 남편 주석문이 모범 광부로 선발되어 가족을 초청하면서 도일(度日)했다. 첫 아이 명순을 낳은 지 얼마 되지 않은 1945년 8월 9일, 김 씨가 나가사키역에 도착한 시간은 11시 남짓. 나가사키에 살고 있던 사촌 동생이 쌀을 마련해 준다고 하여 나선 길이었다. 아이를 등에 업고 역을 나선 순간 하늘에서 번쩍 섬광이 비추었다. 어디선가 불덩이가 달려든 것 같은 순간 정신을 잃었다.
남편 주 씨가 아내를 찾은 것은 그로부터 10여 일이 지난 후였다. 나가사키에 신형 폭탄이 떨어져 수만 명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부인과 자녀를 찾기 위해 나가사키 구석구석의 수용소, 시체 더미, 병원 등을 헤맨 끝이었다. 사망자와 부상자가 너무나 많았고, 중화상으로 부은 얼굴을 제대로 알아보지 못했을 뿐 아니라 김 씨와 같이 일시 방문한 조선인들은 신원 파악조차 어려웠다. 대혼란 상황 속에서 드디어 마주한 부인의 왼쪽 눈에는 안대가 씌워져 있었다. 원폭 폭발 당시 튀어 나간 눈알이 어디로 가버렸는지 그 이후로도 찾지 못했다.
등에 업혀 있던 아이는 다행히 큰 상처가 없는 듯했다. 그런데 “해방이 되고 조선으로 돌아와서 처음 낳은 사내아이는 낳은 지 몇 분 만에 약간의 경련을 보이더니 곧 숨을 거두었다. 뼈도 없고 살도 아닌 물렁대기만 한 어린 것은 사람이라기보다 흐느적대는 물체였다.”1 다음으로 낳은 사내아이는 다행히 죽지 않았지만 평생 빈혈을 달고 살았다. 만성 피로와 약한 체력 때문에 직장 생활을 하는 데 곤란을 겪어 일용직 노동을 전전했다. 셋째 사내아이는 보통의 아이보다 반골밖에 되지 않는 상태로 태어났는데 1·4 후퇴 때 열병을 앓다가 한 살을 넘기지 못하고 숨을 거두었다. 딸로는 둘째인 명자가 막내로 태어났다. 항상 머리가 아프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살다가 스무 살이 되던 해인 1972년 6월에 사망했다. 형편이 어려워 병원 검진 한 번 받아보지 못했다. 징용공 당시 탄광에서 일하다가 허리를 다쳐 평생 구부정하게 다니면서도 가족을 위해 하루도 쉬지 않고 일하던 남편이 시름시름 앓으며 여위어 간 것도 그즈음이었다. 척추암이라는 진단을 받고 한 달이 되지 않은 1972년 9월에 딸 명자의 뒤를 이었다. 피폭 당시에는 큰 상처가 없었던 것 같은 큰딸 명순은 10대 후반이 되면서 점점 빛을 보기 어려워했고, 어둠 속에서 나오지 않으려 했다. 다락방에서의 삶이 지속되었다.
나가사키 원자폭탄 폭발 당시 노출되었던 방사선은 김정순 씨가 일본을 떠나 조선으로 돌아와서도, 자녀를 낳아 기르는 동안에도 그의 몸속에서 많은 것들을 변형시키고 있었다. 빈도 높은 유산과 사산, 기형아 출산, 빈혈, 갑상선암이나 혈액암을 비롯한 각종 암, 위장병, 만성 피로, 체력 저하는 방사선에 피폭된 이들이 흔히 경험하는 만발성 후유증의 일부다. 방사선에 노출된 인체의 각 세포 속 유전자는 돌연변이를 일으키는데 그 정도에 따라 회복되는 시기도 증상도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미일공동연구기관인 방사성영향연구소(RERF)의 연구에 따르면 백혈병, 유방암, 폐암, 위암, 결장암, 다발성골수종 등이 방사선량과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이외에도 고혈압, 척추질환, 백내장 등과 같은 질환이 대표적인 피폭 후장해에 속한다. 후장해는 평생 진행되는 것으로 본다.
그러나 신체를 횡단하는 방사선에의 노출 영향은 원자폭탄이 폭발하는 짧은 순간이나 그것이 폭발한 폭심지 부근의 장소에 머물렀던 사람에게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원자폭탄 폭발 이후 다양한 종류의 잔류방사선은 인체에 여러 세포의 재생산에 작용한다. 폭발 당시에 폭심지 근처 4~5km 정도 이내에 머무르며 원폭의 영향을 받은 사람 이외에도, 폭발 이후 2주 이내에 구호나 가족 수색 등을 위해 이 지역들에 들어간 사람들(입시피폭자), 원거리에 피난 온 피폭자들을 간호했던 사람들(구호피폭자), 그리고 피폭자의 몸속에 있었던 태아들(태아피폭자)의 몸에서도 방사선 노출은 중요한 작용을 한다. 남편 주 씨가 아내를 찾기 위해 나가사키 시내를 10여 일 동안 돌아다닐 때 엄청난 양의 잔류방사선에 노출되었고 그의 몸에도 방사성 물질이 쌓였다.
신체의 세포 조직에 한번 들어온 방사성 물질은 피폭자들의 몸을 횡단하고 장기 지속한다. 광산에서 추출되어 정제되고 폭발하여 투과하는 방사성 원소의 횡단-신체적 물질성은 피폭자의 몸속에서 “위태롭고, 우발적이며, 우연적이고, 불확실하며, 고분분투하는 역동적인 삶의 회고록”2을 써 내려갔다. 원폭 피해자의 자녀들이 모두 후유증을 겪는 것은 아니지만, 적지 않은 피폭자 2세들이 만성 피로나 체력 저하 등 면역계 증상을 경험한다는 사실도 부정하기 어렵다. 신체를 횡단하는 방사성 원소는 피폭자의 몸에 원폭을 기록하고, 역사를 기억하게 하며, 삶의 옹이를 만들어냈다.
“엄마, 엄마는 왜 유명해졌지? 그놈의 원자탄이라고? 원자탄을 맞은 사람이 한국에서 엄마 한 사람이야? 그게 어느 세월인데 이제 와서 엄마 혼자 유명해졌느냐 말이야?” 저는 압니다. 자식들의 눈 속에서 일고 있는 그 숱한 힐문(詰問), 제대로 먹이지도 입히지도 못하면서 엄마 역시 거지꼴로 찌든 주제에 이름 석자는 무슨 이유로 떠벌여 가지고······. 그 혐오와 원망에 찬 항변을······저는 뼈아프게 압니다. 그래서 저는 다시 이렇게 내친 걸음으로 입을 떼고 있는지 모릅니다.
-박수복, 『소리도 없다, 이름도 없다』, 182쪽. 손귀달의 「저는 罪人이 아닙니다」 중에서.
현해탄아, 현해탄아 / 우리 영주가 세 번째로 현해탄을 건너는구나
이번엔 다정히 대하지 않을 테냐 / 현해탄아, 현해탄아
너를 건널 때마다 비극이 우릴 기다렸다 / 세 번째엔 우리 영주를 즐겁게 맞아 다오
현해탄아, 넌 우리에게 빚이 있다 / 현해탄아, 현해탄아 / 부당한 현해탄아
넌 우리에게 빚이 있다 / 넌 우리에게 빚이 있다
-희곡 〈I am a Hibakusha〉 중에서
재일본대한민국민단 히로시마지부, 일본 히로시마시에 위치한 가와무라 병원, 재한피폭자를구원하는시민회(시민회), 재한피폭자문제시민회의 등 다양한 단체들도 한국 원폭 피해자의 권리를 요구하며 원폭 피해자들의 목소리와 공명하며 연대했다. 이러한 연대의 흐름이 1987년 민주화 운동의 흐름 속에서 일본 정부를 상대로 한 23억불 보상청구운동으로 발전해갔다. 물론, 그 운동의 결과는 기대에 크게 미치지 못했지만, 이는 냉전이 해체된 국제 질서와 맞물려 민주화 이후의 한국에서 일본의 전후 미처리 문제에 대한 의식을 고양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고, 1990년대 일본은 한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각국으로부터의 전후 보상 요구에 직면해야 했다. 민주화 이후 사할린 교포, 종군위안부, 전시노무자 그리고 일본군의 군인 및 군속 등으로 강제 연행된 사람들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전쟁 피해 배상 요구 재판을 시작하는 가운데, 한국 원폭 피해자들도 다양한 소송 운동에 나서며 이 역사적 흐름에 동참하였다.
-박수복, 1975, 『소리도 없다, 이름도 없다』, 창원사.
-스테이시 앨러이모, 2018, 『말, 살, 흙: 페미니즘과 환경정의』, 윤준·김종갑 역, 그린비.
-오은정, 2013, 『한국 원폭피해자의 일본 히바쿠샤 되기: 피폭자 범주의 경계 설정과 통제에서 과학·정치·관료제의 상호작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한국교회여성연합회, 1994, 『원폭피해자 돕기 및 반전반핵평화운동』.